[여야 北核해법]한·미공조 조율 ‘각개약진’

2003.01.02 18:41

북핵문제에 관한한 한나라당과 민주당 모두 ‘한·미공조’의 중요성에는 공감하고 있다. 하지만 한나라당은 “미국과의 빈틈없는 조율”쪽에, 민주당은 “공조속에서 우리의 목소리를 낸다”는 쪽에 중점을 두고 있어 사실상 시각차가 존재한다.

결국 각당이 당분간 ‘각개약진’을 벌이면서도 범국회 차원의 북핵문제 해결에서는 그 방법론과 설득논리를 놓고 ‘주도권 다툼’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나라당은 2일 이미 독자행보를 시작했다. 한나라당은 박진(朴振) 의원을 4일 출국시켜 조웅규(曺雄奎), 윤여준(尹汝雋) 의원 등 이미 미국 현지에 있는 의원들과 합류하도록 했다. 현지조사단은 미 관계자들을 상대로 “주한미군 철수를 반대하며 한·미 공조가 중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할 예정이다.

서청원(徐淸源) 대표도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북한 핵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변국과의 철저한 공조와 협력이 중요하다”며 “특히 한·미 양국의 빈틈없는 조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나라당은 또 주한 미대사가 귀국하는 대로 서대표가 직접 만나 북핵문제를 논의키로 하는 한편 북핵특위 위원장인 최병렬(崔秉烈) 의원이 3일 기자회견을 여는 등 당분간 독자행보를 계속할 계획이다.

민주당은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당선자의 ‘책임있는 행보’를 지원하기 위해 “인맥을 총동원해 대화분위기를 조성하겠다”는 입장이다. 정대철(鄭大哲) 의원은 “1월중으로 예정된 고위인사 교환 전에 민주당 인맥을 동원, 미국측에 평화적 해결을 강조하는 방법으로 대화 분위기를 조성하겠다”고 전했다. 민주당은 이를 통해 지난달 31일 노당선자가 기자회견에서 밝힌 대로 한·미 공조의 중요성과 함께 한국 역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필요성도 동시에 설명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김대중(金大中) 대통령과 한화갑 대표의 폭넓은 미국 내 인맥과 접촉, 행정부나 의회에 대화창구를 개발하겠다”며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했다.

한편 양당은 이날 총무회담을 열고 미국·일본·국제원자력기구 등 6곳에 모두 20명의 의원외교단을 파견키로 합의했다.

〈손승욱기자 utopia@kyunghyang.com〉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