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위원장 사퇴한 '97그룹' 김해영 "전당대회 출마 고심 중"

2022.06.24 16:07 입력 2022.06.24 17:05 수정

[스팟+터뷰] “정치권 안팎에서 주목해 볼 만한 인물을 짧지만 깊이 있게 신속하게 인터뷰하는 코너입니다.”

‘97세대(90년대 학번·70년대생)’ 정치인인 김해영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4일 “전당대회 출마를 고심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지난 22일 부산 연제구 지역위원장직을 내려놨다. “지방선거 결과에 책임지겠다”는 이유를 밝혔다.

김 의원은 이날 전화 인터뷰에서 당의 진로에 대해 “민주당을 위한 민주당’에서 ‘국민을 위한 민주당’으로 나가야 한다”고 했다. 이재명 의원이 당대표 선거에 출마한다면 “당은 모르겠으니, 나만 살자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당 전국청년위원장을 거쳐 20대 총선에서 부산 연제구에 당선됐다. 2018년 8·25 전당대회에서 최고위원으로 선출된 뒤 ‘조국 사태’에 쓴소리하며 주목받았다. 2020년 7월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사건 피해자를 ‘피해호소인’으로 부른 사실을 공개 사과했다. 당내에서 소신발언을 해온 그는 6·1 지방선거에서 패배한 민주당의 차기 당권주자로 거론된다. 다음은 인터뷰 전문.

김해영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창길 기자

김해영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창길 기자

-지역위원장직을 사퇴한 이유는.

“지방선거에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겠다고 생각했다. 선거 패배에 책임질 위치에 있던 사람들에게 책임지는 모습을 보이라고 독려하는 의미도 있다.”

-이재명 의원이 당대표 선거에 출마한다면.

“‘당은 모르겠고 나만 살자’는 것이다. 이 의원은 대선·지방선거 패배 책임자다. 이 의원의 많은 형사 사건 의혹이 해소되지 않았다. 인천 계양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출마한 것도 정치적으로 부끄러운 행동이었다. 성남 분당갑으로 갔어야 한다.”

-친문재인계 전해철 의원은 불출마를 선언했다.

“전당대회가 자칫 계파 갈등 양상으로 갈 수 있다는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스스로 희생하면서 당에 도움되는 어려운 결정을 해주셨다. 불출마가 이어지면 세대교체 공간이 넓어질 것이다. 젊고 새로운 세대의 도전은 정치발전, 당 발전에 긍정적인 현상이다.”

-이번 전당대회에 도전하나.

“여러 이야기를 들으며 고심하고 있다.”

-‘86그룹(80년대 학번·60년대생)’ 용퇴론에 대한 생각은.

“특정 세대를 통째로 물러나라는 것은 맞지 않는다. 다만 국회에 다양한 가치를 지향하는 사람들, 청년이나 여성이 더 많이 진출해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

-79세대 당 대표론을 어떻게 보나.

“나이가 꼭 중요한 건 아니다. 70년대생이 그동안 어떤 행보를 해왔고 앞으로 어떤 비전을 제시하느냐가 중요하다.”

-당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민주당을 위한 민주당’에서 ‘국민을 위한 민주당’으로 나가야 한다. 당리당략에 집착하기보다는 국민 전체 이익을 우선하는 모습으로 더 인식돼야 한다.”

-당이 의원 워크숍에서 ‘내로남불’을 반성했다.

“당이 환골탈태하려면 어떤 사건에 대한 내로남불을 반성하는지 명확히 밝혀야 한다. 조국 사태, 오거돈·박원순 성폭력 사건, 윤미향 사건, 비례위성정당 창당 모두 우리 당의 내로남불 사례다.”

-팬덤정치에 대한 생각은.

“팬덤 자체가 나쁜 건 아니다. 팬덤이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을 억압하는 방식으로 표출되는 건 당내 민주주의, 대한민국 민주주의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당의 검찰 수사·기소권 분리법안 처리 과정을 비판했다.

“다수의 폭주를 견제하고 제동을 거는 것이 민주주의 실현에 중요한 요소다. 우리 당이 다수 의석으로 밀어붙이는 모습이 국민에겐 다수의 억압적인 모습으로 비칠 수 있다. 위장 탈당도 의회주의 정신을 유린하는 좋지 않은 모습이었다.”

-당 윤리심판원이 성희롱 논란에 휩싸인 최강욱 의원에게 당원권 정지 6개월 징계를 내리자 일부 당원들이 반발했다.

“당이 국민 눈높이에 맞게 결단했다. 당 윤리심판원은 독립적인 위상을 가진 기구이기 때문에 그 결정을 존중하는 게 좋다.”

-정치인으로서 앞으로 각오는.

“사람들이 ‘하고 싶은 거 하면서 사는 세상’을 만들고 싶다. 이를 위해 국가가 교육·주거·의료 분야에서 지금보다 두텁게 기본적인 복지를 제공해야 한다. 문화적으로는 다양성 존중과 탈권위 가치가 중요하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