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군 묘지 참배한 오월단체 간부들 “5·18 때 산화”

2023.01.17 16:01 입력 2023.01.17 16:20 수정

황일봉 5·18 부상자회 회장(가운데) 등  5·18 관련 3단체 대표들이 17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5·18 당시 숨진 특전사 장병들의 묘역에서 참배하고 있다. 서성일 선임기자 이미지 크게 보기

황일봉 5·18 부상자회 회장(가운데) 등 5·18 관련 3단체 대표들이 17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5·18 당시 숨진 특전사 장병들의 묘역에서 참배하고 있다. 서성일 선임기자

오월단체 일부 간부들이 5·18당시 계엄군으로 투입됐다 숨진 군인들의 묘지를 처음으로 참배했다. 이들은 “화해할 때”라고 했지만 광주 곳곳에서는 “진상규명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부적절한 처신”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황일봉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 회장과 정성국 5·18민주화운동공로자회 회장, 홍순백 5·18민주유공자유족회 상임부회장 등은 17일 오후 서울 국립 현충원을 찾아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광주에 계엄군으로 투입됐다 숨진 군인들과 경찰 묘지를 참배했다.

참배에는 대한민국특전사 동지회 관계자들이 동행했다. 현충원에는 5·18당시 사망한 장병 22명과 경찰 4명이 안장돼 있다. 참배에 참석한 오월단체 간부들은 “부당한 명령으로 지난 43년간 육체적·정신적으로 고통 받은 계엄군과 화해할 때”라고 밝혔다.

지난 11일 ‘광주광역시 특전사 동지회’가 오월단체 사무실을 찾아 귤 20상자를 전달하며 이야기를 나눈 것도 이날 참배의 계기가 됐다고 한다. 묘지를 참배한 이들은 보도자료에서 계엄군 사망자들에 대해 ‘5·18 당시 산화’, ‘호국영령’ 이라는 표현도 사용했다.

광주광역시에서는 이날 참배에 대해 ‘부적절한 처신’ 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한 5·18단체 회원은 “수많은 시민들의 죽음과 고통에 대해 계엄군 지휘부 누구도 책임을 인정하고 않았고 사과도 하지 않았는데 간부들이 무슨 권한으로 화해를 이야기하느냐”면서 “지금도 극심한 고통 속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는 5·18피해자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을 알고 있느냐”고 말했다.

정부가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를 통해 진상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섣부른 화해’는 가해자들에 대한 면죄가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광주지역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화해는 진실이 드러나고 가해자들이 책임을 진 이후 진심으로 사과할 때 가능하다”면서 “오월단체 일부 간부들의 행동은 가해자의 행동을 합리화해 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5·18 당시 계엄군 진압으로 광주시민 355명(당시 사망 165명·행방불명 78명·상이후 사망 112명)이 희생됐다. 현충원에 안장된 계엄군의 상당수는 ‘군인 간 오인사격’으로 숨졌다. 13명이 오인사격으로 숨졌고 시민군과 교전 중 사망자는 5명이다. 2명은 차량사고, 2명은 사망경위가 명확하지 않다. 국방부는 2020년 이들의 사망경위를 모두 다시 조사해 ‘전사’에서 ‘순직’으로 변경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