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반대 의미로 ‘공산’ ‘공산전체주의’ 등
전임 대통령 3명 메시지에는 없던 단어 사용
윤 대통령이 적극 관여해 가능하다는 분석
외교 분야는 ‘중국’ 언급 비중 확연히 줄어
“지금 우리의 자유는 끊임없이 위협받고 있습니다. 아직도 공산전체주의 세력과 그 기회주의적 추종 세력 그리고 반국가 세력은 반일 감정을 선동하고, 캠프 데이비드에서 도출된 한·미·일 협력체계가 대한민국과 국민을 위험에 빠뜨릴 것처럼 호도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9월 국립외교원에서 열린 개원 60주년 기념식 축사에서 이같이 말했다. 정부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를 방조했다는 비판이 높아지던 때였다. 공산전체주의, 기회주의, 추종 등 배타적인 말의 뼈대는 이명박·박근혜·문재인 전 대통령의 메시지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처럼 윤 대통령이 지난 2년간 내놓은 메시지에서는 전임 대통령들이 같은 기간 내놓은 메시지에선 보기 드문 단어들이 적지 않게 등장했다. 윤 대통령은 자유의 반대 의미로 공산을 60회, 자유민주주의의 반대 의미로 공산전체주의와 공산 세력을 각각 39회, 14회 언급했다. 자유와 관련해 윤 대통령이 말한 자유사회, 자유세계, 자유통일, 자유회복 등은 전임 대통령 3명이 같은 기간 낸 메시지에는 나타나지 않았던 단어들이다. 윤 대통령 메시지에서 가짜평화는 14회, 위장평화는 3회 쓰였다.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를 비난하는 맥락에서다.
윤 대통령이 개혁 필요성을 강조하며 자주 사용한 ‘카르텔’은 32회로 나타났다. 그는 지난 1월 신년사에서는 카르텔과 패거리를 결합해 ‘패거리 카르텔’이라는 표현도 2회 사용했다.
‘한 몸’도 윤 대통령만 말한 독특한 단어였다. 윤 대통령은 한 몸을 6회 언급했다. “정부와 기업이 이제 한 몸이 돼야 합니다”(2023년 1월2일 경제계 신년인사회), “정부와 기업은 한 몸이고 원팀”(2023년 1월16일 아랍에미리트연합(UAE) 동행 경제인과의 만찬 간담회) 등 정부와 민간 협력을 강조할 때 썼다. 지난해 10월30일 제42회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는 청소년 대상 불법 도박장 문제를 지적하며 ‘악질범죄’ ‘좀먹다’ 등 강한 표현을 동원했는데 이 역시 전임 대통령들은 사용하지 않았던 단어들이다.
전임 대통령 메시지에서 볼 수 없는 단어 등이 윤 대통령 메시지에서 자주 등장하는 건 그가 직접 메시지를 챙기고 다듬는다는 사실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과거 청와대에서 일했던 한 인사는 “메시지 관련 업무를 하는 실무자들은 대부분 전문적으로 글을 쓰는 사람들이거나 부처에서 파견 나온 공무원이기 때문에 원고를 만들 때 자극적인 단어는 가능한 한 피한다”며 “튈 수 있는 표현을 넣을 수 있는 건 대통령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처럼 자극적이고 공격적인 표현이 등장하는 윤 대통령의 메시지 스타일은 대통령의 메시지로는 적절하지 않다는 비판이 나온다. 김대중·노무현 대통령 시절 청와대서 연설 관련 행정관·비서관을 역임한 강원국 작가는 “대통령은 갈등을 조정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말과 글을 써야 하는데, 윤 대통령은 갈등을 조장하고 문제를 야기하는 말과 글을 쓴다”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의 메시지에 공격적인 표현이 자주 나타나는 건 그가 검사 출신이라는 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분석이 있다. 강 작가는 “대통령은 사적 인간에서 공적 인간으로 변화하는 시간이 필요하고 그 준비가 필요한데 윤 대통령은 검사로서 밀실에 있다가 바로 광장으로 나온 최초의 사례”라며 “피아를 구분해 상대를 공격하고 제압하는 방식의 말하기는 ‘광장의 언어’가 아닌 ‘밀실의 언어’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의 외교 관련 메시지에서는 ‘피아 구분’이 도드라진다는 특징이 있었다. 윤 대통령이 언급한 국가를 보면 미국(208회)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전체 말의 뼈대(명사·형용사·부사·동사 등 주요 품사만 추출, 이하 단어로 통칭) 중 133번째였다. 이어 우크라이나(146회), 영국(133회), 일본(132회), 네덜란드(130회), 베트남(127회) 순이었다. 중국이 언급된 횟수는 21회(1437번째)에 불과했다. 같은 기간 이 전 대통령과 박 전 대통령, 문 전 대통령이 중국을 각각 201회(123번째), 84회(142번째), 220회(130번째) 언급한 것과 확연히 대비된다. 마찬가지로 윤 대통령 메시지에서 중국 국가주석인 시진핑은 2회 등장에 그쳤다. 반면 미국 대통령 바이든이 63회, 일본 총리 기시다가 54회, 우크라이나 대통령 젤렌스키가 11회 나왔다.
윤 대통령 메시지에 북한은 361회(59번째) 언급돼 같은 기간 이 전 대통령(248회·90번째)보다 많았다. 반면 문 전 대통령(541회·40번째)과 박 전 대통령(312회·19번째)보다는 적었다. 윤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이름은 단 한 차례도 말하지 않았다.
이동률 동덕여대 교수는 “동맹 강화와 미·중 경쟁 속 미국과 공동 전선을 형성해야 한다는 정부의 기조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결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중국은 싫지만 중요한 나라’라는 게 국내 여론”이라며 “싫다고 관계를 끊는 게 아니라 싫은 나라들과의 관계를 어떻게 안정적으로 관리하느냐가 중요한 외교적 과제”라고 말했다. 국가를 운영하는 입장에선 중국과의 관계가 불편할수록 외면만 할 게 아니라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