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합의사항 존중, 빨리 대화해야” 李대통령, 3·1절 기념사

2009.03.01 17:59
최재영기자

이명박 대통령은 1일 “남과 북은 상대방을 서로 인정하고 존중하면서 평화적으로 공존, 공영해 나가자고 합의해 왔다”면서 “저는 이런 남북 간 합의사항을 존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남북 합의사항 존중, 빨리 대화해야” 李대통령, 3·1절 기념사

이 대통령은 이날 충남 천안 독립기념관에서 열린 제90주년 3·1절 기념식에 참석, 기념사를 통해 “남과 북은 이른 시일 내에 대화를 해야 한다. 조건 없는 대화의 문은 지금도 활짝 열려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북한을 진정으로 지켜주는 것은 핵무기와 미사일이 아니라 남북 협력과 국제사회와의 협력”이라면서 “우리는 북한의 비핵화 과정에서 국제사회와 함께 과감하게 북한을 도울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이 이날 밝힌 남북 ‘합의사항 존중’은 그동안 천명해온 ‘합의 정신의 존중’에서 진일보한 것이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 움직임과 대남 전면적 대결 선언 등으로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고 있음에도 정작 남북 당국간 대화는 이뤄지지 않고 있는 현 국면을 타개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북한이 그동안 요구해온 ‘6·15 공동선언 및 10·4 선언’ 이행 요구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고 있고, 남북 합의사항에 ‘한반도의 비핵화’도 포함돼 있다는 점에서 북측이 긍정적 반응을 보일지는 불투명하다.

이 대통령은 지난해 9월22일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개회사를 통해 “남북기본합의서, 한반도 비핵화 선언, 6·15 공동선언과 10·4 선언 등 그간의 모든 남북간 합의의 정신을 존중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 대통령은 또 경제위기와 관련해 “이 위기를 남들보다 빨리 극복해 내는 것은 물론 사회 각 부문을 개혁해 선진화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면서 “힘들다고 변화와 개혁을 멈출 수는 없으며, 힘들다고 원칙을 버리고 우회할 수는 더더욱 없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자율과 창의가 존중받고, 법과 윤리가 바로 서고, 개인의 자유와 권리가 보장되는 선진일류국가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기만 잘 되겠다는 개인과 집단의 이기주의로는 어려움을 극복할 수 없다”고 밝혔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