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북핵 문제 해법에 대한 온도차 여전

2016.04.01 04:15 입력 2016.04.01 06:34 수정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31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 후 양국은 “한반도의 비핵화와 유엔 안보리 결의의 완전한 이행에 합의했다”고 말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오후 워싱턴 컨벤션센터에서 시 주석과 회담 후 발표한 언론 성명에서 “북한의 핵 무기 추구는 우리 모두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이(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위협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우리는 앞으로도 긴장을 고조하고 국제적 의무를 위반하는 (북한의) 핵·미사일 실험을 단념시키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발언한 시 주석의 입장은 오바마 대통령의 발언과 다소 온도 차이가 있었다.

시 주석은 중국어로 읽은 성명에서 “우리는 조선반도, 시리아, 아프가니스탄, 평화유지, 보건 등 중요한 문제들에 대해 효과적인 소통과 조율을 해왔다”며 “조선반도 문제와 다른 지역, 세계 현안들에 대해 소통과 조율을 향상시키고 공동의 이익을 확대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미·중 정상은 이날 별도의 공동성명을 내고 지난해 12월 파리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채택된 온실가스 감축 협정을 오는 22일 서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양국은 “조기 서명이 파리협정을 최대한 빨리 발효시킨다는 관점에서 다른 유엔기후변화협약 참여국들을 독려하게 될 것”으로 기대했다. 파리 기후변화협정 서명식은 뉴욕에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주재로 열린다.

미·중은 이날 북한 핵과 기후변화 이 외에도 핵 분열 물질의 안전한 관리 등 핵안보 현안들과 이란 핵합의의 이행, 세계 경제위기의 관리 등을 위해 계속 협력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두 정상은 인권, 남중국해, 사이버안보 등 이견을 보이는 사안이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미·중이 협력 확대로 자신들은 물론 세계가 얻을 것이 더 많다는 점을 재확인했다.

한편 미국 기자들은 이날 회담에서 공화당 대선주자 도널드 트럼프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고 고율의 관세를 매기는 등의 조치를 취하겠다고 한 발언이 정상회담 과정에서 논의됐는지 관심을 보였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