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즉각 신규 제재·안보리 소집 요구…백악관은 발사 4시간 만에 ‘새벽 성명’

2022.03.25 21:09 입력 2022.03.25 21:10 수정

제재 명단에 북 제2자연과학원 등

“북 협상 나서라” 외교 해법도 병행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24일(현지시간)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 시험발사 직후 새로운 제재, 한국·일본과 협의 및 공조 재확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 소집 요구 등 일련의 대응을 동시다발로 내놨다. 북한의 ICBM 시험발사를 규탄하고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다짐하면서 ‘외교의 문’은 닫히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북한이 ICBM 발사로 ‘레드라인’을 넘은 데 대해선 제재와 압박을 가하는 동시에 외교적 해법을 추구한다는 기존 대북정책 기조는 유지한 것이다.

미 국무부는 이날 네드 프라이스 대변인 명의로 낸 성명에서 이란·북한·시리아 비확산법(INKSNA·이하 비확산법)을 위반한 혐의로 북한과 러시아, 중국의 개인 및 단체에 대한 신규 제재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북한의 미사일 개발과 관련된 민감한 물질을 조달한 혐의로 북한의 첨단 무기 연구·개발을 주도하는 제2자연과학원과 북한 국적자 리성철 인민보안성 참사가 제재 명단에 포함됐다. 같은 혐의로 러시아의 아르디스 그룹 등 2개 기관과 러시아 국적자 1명도 제재 대상에 올랐다.

북한의 ICBM 시험발사에 대한 미국 대응은 비교적 기민했다. 백악관은 ICBM 발사 4시간 만인 이날 오전 5시30분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 명의로 미국의 기본 입장을 담은 규탄 성명을 냈다. 바이든 대통령 취임 이후 백악관에서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 때 성명까지 내놓은 것은 이례적인 일로 평가된다. 백악관은 “이번 발사는 다수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대한 뻔뻔한 위반”이라면서 “우리는 모든 나라들이 북한의 이 같은 위반에 책임을 물을 것을 요청하며, 북한이 진지한 협상 테이블에 나올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을 수행해 유럽을 방문 중인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은 각각 한국과 일본의 카운터파트와 전화로 상황을 공유하고 공조 방안을 협의했다. 바이든 대통령도 브뤼셀에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만나 한국·일본에 대한 안보 공약을 재확인하고 외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후 미국은 영국, 프랑스 등 5개국과 함께 북한의 ICBM 발사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안보리 공개회의 소집을 요구했다.

미국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북한의 ICBM 시험발사는 예견된 일이었다는 반응이 지배적이다. 같은 맥락에서 북한이 추가 핵실험을 단행할 가능성도 농후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당분간 미국의 대응은 북한에 대한 제재와 압박 강화에 모아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이날 추가적인 독자 제재의 포문을 연 데 이어 25일 안보리 공개회의에서도 기존 대북 제재의 철저한 이행과 함께 추가 대북 제재가 필요하다는 것을 강하게 주장할 예정이다.

하지만 북한에 대한 제재와 압박 수위를 원하는 만큼 높이기도,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복귀시키기도 쉽지 않다는 점이 바이든 정부의 고민거리다. 미국과 러시아·중국은 우크라이나 사태로 탈냉전 이후 최악의 대립 구도를 형성한 상태다. 대북 제재의 키를 쥐고 있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러시아는 추가 대북 제재에 동의할 가능성이 높지 않다. 바이든 정부는 지난 1년간 북한이 핵실험과 ICBM 발사 모라토리엄을 유지하는 동안 ‘현상유지’에 안주하는 모습이었다. 북한은 ICBM 발사로 단박에 북핵 문제의 우선순위를 끌어올렸다. 조지프 디트라니 전 미국 국무부 대북담당 특사는 자유아시아방송(RFA)과 인터뷰하면서 “지금은 인내할 시간이 아니라 협상으로 돌아가야 할 때”라며 “미국과 유엔은 북한의 핵실험 및 미사일 모라토리엄과 맞바꿀 수 있는 로드맵을 제시해야 하고, 모라토리엄에 상응한 대북 제재 완화도 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