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북한 미사일 도발 난감하지만…한미 훈련과 일본 제재도 반대

2017.08.29 15:39 입력 2017.08.29 16:58 수정

사진 연합뉴스

사진 연합뉴스

중국은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도발에 반대하면서도 동시에 한·미 연합훈련과 미·일 독자 제재 역시 한반도 긴장 고조 요인으로 지목했다. 대북 압박 대신 대화를 통한 평화적 해결을 강조했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9일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이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해 발사 활동을 한 것은 명백히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며 “각국이 긴장을 고조하는 행동을 자제하고 공동으로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그러나 한국을 비롯해 미국, 일본이 대북 압박을 강화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서는 반대했다. 그는 “북핵 문제는 압박을 높인다고 해결할 수 없다”면서 “대화와 평화적인 방법을 통해 악순환을 끊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고 평화로운 해결책만이 유일한 출구다”고 말했다.

중국은 북핵 활동과 한미훈련 동시 잠정 중단하는 쌍잠정(雙暫停)과 북 비핵화와 북미 평화체제 구축 병행하는 쌍궤병행(雙軌竝行)을 주장해왔다. 통제 불능의 북한의 도발이 난감하지만 중국에 더 강한 대북 제재를 압박하는 미국이나 독자 제재에 나선 일본도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는 요인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이다.

화 대변인은 이날 “북핵 문제의 핵심은 안보 문제이고, 문제의 당사국은 북한과 미국, 북한과 한국”이라며 “군사훈련과 미사일 도발 등의 악순환이 계속되는 데 이런 문제의 책임이 누구에게 있고 누가 더 노력해야 하는 지, 북핵 6자 회담을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 관영 매체들도 북한의 이번 미사일 발사가 한·미 연합훈련인 을지프리덤가디언(UFG)을 겨냥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 관영방송인 CCTV는 29일 오전 뉴스에서 북한이 지난 25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의장에게 UFG 문제를 긴급의제로 토의할 것을 요구하는 편지를 보냈다는 점을 언급하며 “이번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한·미 연합훈련에 불만을 표시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관영언론인 신화통신도 북한의 도발이 사흘 만에 이뤄졌다는 점을 강조하며 최근 두 차례에 걸친 도발이 한·미 연합훈련에 대해 항의하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반대하지만 한·미도 군사 훈련을 중단해야 한다는 중국 당국의 입장과 궤를 같이 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북한의 미사일 도발 이후 약 40분간 전화 통화를 갖고 대북압력 한층 강화시켜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그러나 대화 해결을 강조하는 중국이 대북 압박에 동참할 가능성은 적다. 최근 중국은 일본이 중국 기업 4곳과 개명 1명에 대한 자산 동결 등 독자제재에 나선 것에 대해 보복까지 언급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중국의 이익과 사법주권을 심각하게 훼손한다. 이번 조치를 지속한다면 반드시 일본은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비난했다.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 역시 일본을 향해 “(일본의) 악랄한 수법은 중국의 이익과 사법권을 침해했다”며 “일본 기업에 제재를 가해 나쁜 심보를 가진 역내 구성원을 일깨워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