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청계재단, 설립취소 위기에 건물 급매

2015.09.20 19:20 입력 2015.09.20 19:41 수정

이명박 전 대통령이 설립한 장학재단 청계재단이 채무를 갚지 못해 설립취소 위기에 몰리자 재단 소유 빌딩을 급매물로 내놓은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한나라당 대선 후보 시절인 지난 2007년 12월 12일 춘천시청앞 유세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 박민규기자

이명박 전 대통령이 한나라당 대선 후보 시절인 지난 2007년 12월 12일 춘천시청앞 유세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 박민규기자

20일 박홍근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청계재단은 지난 5월 시가 150억원 상당의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소재 영일빌딩을 급매물로 내놨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대선을 열흘 앞둔 2007년 12월7일 BBK 의혹에 대응하기 위해 “당락에 관계없이 재산 전부를 내놓겠다”고 한 약속에 따라 2009년 7월 감정가 395억원에 달하는 건물 3채(서초동 영포빌딩·대명주빌딩, 양재동 영일빌딩)을 출연해 청계재단을 설립했다.

2008년 이 전 대통령은 천신일 전 세중나모 회장에게 진 빚을 갚기 위해 서초동 빌딩을 담보로 우리은행에서 30억원을 대출받았는데, 이 30억원을 청계재단 기부자산으로 처리했다. 청계재단은 이 빚을 갚기 위해 또다시 50억원을 차입해 현재까지도 이 50억원에 대한 이자를 내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2008년 8월 청계재단 설립 당시 2012년 9월21일까지 청계재단이 차입금 50억원을 반환하는 조건으로 설립허가를 내줬다. 청계재단은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 서울시교육청은 문용린 전 교육감 시절 차입금 반환 시효를 2015년 11월1일로 연장해줬다.

한 차례 연장한 상환기간이 임박하자 청계재단은 양재동 소재 영일빌딩을 매각해 현금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을 세워 서울시교육청에 보고하고 지난 5월 영일빌딩 급매를 추진했다.

이 과정에서 매입 의사를 밝힌 개발사는 10% 할인된 가격을 제시했다. 지난 8월1일 청계재단 임시회의록에 따르면, 청계재단 이사들은 재산손실을 우려해 이 제안에 부정적인 입장이었으나 “주무관청(서울시교육청)이 10월 이전에 채무상환이 이뤄지지 않으면 면허를 취소하겠다고 경고한다”는 재단 사무국장의 의견에 따라 매도가 조정을 승인했다. 개발사는 9월25일 이전까지 매입을 완료하겠다는 매수의향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홍근 의원은 “모범이 돼야 할 대통령 관련 장학회가 설립자인 전직 대통령이 진 빚을 갚느라 생긴 차입금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설립취소에 내몰릴 정도로 비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은 부끄러운 현실”이라며 “감독관청인 서울시교육청은 장학회를 보다 엄격하게 관리하고 강력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