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성장률·물가’ 전망치 손질 불가피···이르면 5월 조정·발표 가능성도

2022.03.11 15:22 입력 2022.03.11 16:30 수정

국내 ‘성장률·물가’ 전망치 손질 불가피···이르면 5월 조정·발표 가능성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라는 예기치 못한 변수가 부상하면서 올해 한국의 경제 성장률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가 수정될 것이란 관측이 높아지고 있다. 유가와 곡물 등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과 수급 차질에 따라 물가는 더 높아지고, 성장은 둔화될 가능성이 있어서다. 통상 수정 경제전망은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이 나오는 6월 말에 발표되는데, 올해는 조금 앞당겨져 오는 5월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 새 정부 경제정책과 함께 조정·발표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11일 기획재정부와 국제통화기금(IMF) 등에 따르면 기재부는 지난해 12월 발표한 ‘2022년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경제성장률은 3.1%, 물가상승률은 2.2%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기재부는 이 같은 전망의 근거로 IMF의 올해 세계경제성장률 전망치(4.9%)와 국제유가 전망치(두바이유, 배럴당 73달러) 등을 삼았다. 이억원 기재부 1차관은 당시 “국제유가는 내년 73달러로 높아질 것으로 보이지만, 수급 여건이 점차 개선되면서 (2021년) 4분기를 정점으로 완만히 하락할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하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라는 악재가 터지면서 유가와 곡물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은 급등했다. 두바이유 가격은 지난 10일 기준 배럴당 115.33달러(현물)를 기록해 전망치 대비 60% 가까이 오른 상태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2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40.7로 1년 전에 비해 20.7% 급등했고, 밀 등 선물가격은 연일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이에 국제통화기금(IMF)은 이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국제사회의 러시아 제재 등에 따른 세계 경제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을 고려해 세계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10월에는 올해 세계경제성장률 전망치를 4.9%로 전망한 IMF가 올 1월 오미크론 확산 등 영향을 고려해 4.4%로 0.5%포인트 낮춘 데 이어 이번 우크라이나 사태를 반영해 전망치를 더 낮추겠다고 예고한 것이다.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국내 물가상승과 경기위축 우려는 커졌다. 물가 상승은 실질 소득 감소와 소비·투자 위축으로 이어져 실물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박종석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전날 통화신용정책보고서 설명회에서 “(전쟁 장기화가) 세계 교역 둔화와 비용 상승 영향으로 물가에는 상당한 상방 압력, 실물경제에는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올해 물가 전망치를 종전 2.0%에서 3.1%로 상향 조정했다.

무역수지 악화도 성장률 전망치를 낮추는 요인이다. 이날 한은이 발표한 1월 국제수지(잠정)를 보면 경상수지는 18억1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지만, 1년 전보다 흑자폭이 49억7000만달러나 축소됐다.

정부의 성장률과 물가 등 수정 경제전망은 통상 매년 6월(하반기 경제정책방향)과 12월(내년 경제정책방향) 등 2번에 걸쳐 조정·발표되지만, 올해는 이르면 5월 중 발표될 가능성이 있다. 정부 관계자는 “정권 교체기에는 통상 12월 연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한 이후 이듬해 3월 새 정부 경제정책과 수정 경제전망을 함께 내놓는 경우가 많다”며 “5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새 정부 경제정책이 발표되면서 수정 경제전망이 담긴 하반기 경제정책방향도 같이 발표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