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청년 10명 중 8명, 우울증 등 마음건강 ‘적신호’

2022.03.22 09:40
헬스경향 양정원 기자

[헬스경향 2022 서울청년 실태조사]
· 91.3% ‘주거문제 고민’…86.4% ‘결혼 필요성 못 느껴”
· 여성 93% 출산기피...주거·결혼문제 등 대책마련 시급

1980~2000년대에 태어난 밀레니얼(M)세대와 1990~2000년대 출생한 Z세대를 아우르는 MZ세대는 인터넷·휴대폰 등 디지털환경에 친숙할 뿐 아니라 과감한 자기표현과 소비지출로 우리사회 전반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습니다.

헬스경향은 2022년을 살아가는 서울청년의 실태를 살펴보기 위해 여론조사전문기관인 서던포스트와 공동으로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19~39세 청년 10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이번 조사를 통해 서울청년의 ▲마음건강 ▲결혼·출산 ▲주거문제 등 복지분야에 대한 전반적 인식을 살펴봤습니다. 또 서울시가 시행 중인 청년정책 인지도, 분야별 만족도 등에 대한 평가도 확인했습니다. 3월 12~13일 실시한 이번 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이뤄졌고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1%p입니다. <편집자주>

서울청년 대다수가 우울증 등 마음고통을 경험하고 비용부담 등으로 결혼 필요성도 크게 느끼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높은 집값 등으로 주거문제를 고민하는 청년들도 90% 이상이나 됐다. 청년들의 고민을 깊이 조망하고 해결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이유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서울청년 대다수가 우울증 등 마음고통을 경험하고 비용부담 등으로 결혼 필요성도 크게 느끼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높은 집값 등으로 주거문제를 고민하는 청년들도 90% 이상이나 됐다. 청년들의 고민을 깊이 조망하고 해결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이유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서울청년 10명 중 8명(78.1%)이 최근 2년 새 우울증 등 마음고통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응답자의 16.3%는 매우 심각한 우울감 등 마음고통을 경험한 것으로 드러나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마음고통경험과 관련해 남성(74.9%)보다는 여성(81.2%), 기혼(71.8%)보다는 미혼(79.7%), 정규직(75.6%)보다는 비정규직(78.5%)·비근로자(78.2%)가 마음고통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스스로 마음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고 응답한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만큼 시급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결혼에 대한 서울청년의 인식변화도 눈여겨 볼만하다. 10명 중 9명(86.4%)은 결혼에 대한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않았다. 설문조사결과 응답자 가운데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는 답변은 13.7%에 그쳤다. 12.6%는 결혼을 하지 않겠다고 답했고 73.8%는 결혼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는 응답을 보였다.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는 응답자는 여성(93.0%)이 남성(79.9%)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결혼을 기피하는 이유로는 ▲집·혼수 등 결혼비용부담(27.9%) ▲가족 생계부양부담(17.7%) ▲구속감(16.3%) ▲전통적 가족문화부담(9.8%) 순으로 나타났다.

또 결혼 후 출산의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서울청년 10명 중 8명 이상(84.7%)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고 답했다. 특히 여성 응답자의 93%는 출산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고 답해 남성(76.1%)에 비해 월등히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출산을 기피하는 이유는 자녀양육·교육비부담이 35.5%로 가장 높았다. 이어 ▲자녀 미래의 불확실성(19.2%) ▲좋은 부모로서 자신감 결여(16.5%) ▲개인 또는 부부 삶의 우선(13.4%) ▲낮은 소득(11.9%)이 뒤를 이었다.

한편 주거문제로 고민 중인 청년은 전체 응답자의 91.3%에 달했다. 거의 모든 청년이 높은 집값 등으로 주거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정부·지자체의 대책마련이 시급함을 여실히 드러냈다.

서울시의회 대변인 겸 행정자치위원회 부위원장인 한기영 의원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청년들의 마음건강 위험성이 더욱 커진 것으로 분석된다”며 “현재 서울시가 추진 중인 청년 마음건강정책이 사후대책 위주인 점도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사전예방 및 조기발굴, 일상적 커뮤니티 형성, 상담체계 마련 등에 정책을 주력할 수 있도록 의회 차원에서도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겠다”고 덧붙였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