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서 전쟁 발발 후 최대 규모 반정부 시위 “네타냐후 퇴진”

2024.04.01 07:43 입력 2024.04.01 10:14 수정

31일(현지시간) 이스라엘 예루살렘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의 퇴진과 인질 협상을 촉구하는 시위가 열리고 있다. AFP연합뉴스

31일(현지시간) 이스라엘 예루살렘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의 퇴진과 인질 협상을 촉구하는 시위가 열리고 있다. AFP연합뉴스

이스라엘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의 퇴진과 인질 협상을 촉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열렸다.

31일(현지시간) 예루살렘 크네세트(의회) 건물 인근에는 10만명에 이르는 시민들이 운집해 네타냐후 우익 연정의 퇴진과 즉각적인 조기 총선 실시를 요구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전쟁 발발 이후 이스라엘에서 열린 최대 규모 반정부 시위다.

시위대는 전쟁 발발 6개월이 되어가도록 가자지구에 억류된 인질들을 데려오지 못하고 이들을 납치한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세력을 뿌리 뽑지도 못한 이스라엘 정부에 분노를 표출했다.

여기에 초정통파 유대교 청년들의 병역 면제를 두둔하는 정부에 대한 비판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일각에선 네타냐후 총리의 아들인 야이르 네타냐후가 전쟁 발발 후 6개월째 귀국하지 않고 미국에 머물고 있는 점을 비판하기도 했다.

의회 앞에 모인 시위대는 인근에 텐트를 치고 밤을 지새우며 앞으로 나흘간 연속 시위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텔아비브에서도 이틀 연속 수천여명이 모여 총리 퇴진을 촉구하는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이날 네타냐후 총리는 기자회견을 열고 하마스와 전쟁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총선을 치른다면 향후 6~8개월간 정부가 마비되고 인질 협상 역시 중단될 것이라며 퇴진 요구를 일축했다.

이에 대해 야권 지도자인 야이르 라피드 전 총리는 “총선은 국가를 마비시키지 않을 것이다. 국가는 이미 마비됐다”며 “전쟁도, 하마스와의 인질 협상도, (헤즈볼라의 공격을 받는) 북부 지역도, 그리고 네타냐후 당신 주도의 정부도 이미 마비됐고 실패했다”고 비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