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이번 주 <흔적의 역사> 팟캐스트 주제는 ‘신라공주와 페르시아 왕자의 사랑’이야기 입니다.

아니 머나먼 나라의 왕자 공주가, 그것도 1500년 전에 사랑을 나눴고, 혼인까지 했다는 거냐. 그걸 믿으라는 거냐 하고 말씀하실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란판 단군신화라 할 수 있는 ‘쿠쉬나메’라는 서사시에 나오는 내용이라니 어쩝니까. 그 서사시에 따르면 멸망한 사산조 페르시아의 마지막 왕자가 중국을 거쳐 신라로 망명합니다.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팟캐스트 듣기

이란 왕자는 엄청 환대를 받습니다. 양국 선수들끼리 선수를 섞어 이란의 전통 스포츠인 폴로경기까지 벌였답니다.

그리고 이란왕자는 세상에서 가장 예쁜 신라 공주와 혼인을 하게 됩니다. 양국은 신라-페르시아 연합군을 결성해서 때마침 침략해온 중국군대를 대파하고, 그 여세를 몰아 중국대륙까지 진출합니다.

왕자와 공주 부부는 아이를 임신합니다. 그 와중에 망국의 페르시아 왕자의 꿈에 ‘빨리 조국에 가서 아랍 정복자들을 무찌르고 나라를 바로 세우라’는 계시가 나타납니다. 부부는 아이를 임신한 채로 이란으로 달려갑니다.

왕자는 독립투쟁의 와중에 죽습니다. 그러나 부부사이에는 영웅이 태어납니다. 이란-신라 혼혈의 아이가 자라 결국 아랍폭정자를 무찌릅니다. 이것이 ‘쿠쉬나메’의 내용입니다.

저는 이 쿠쉬나메 서사시를 보면서 무릎을 쳤습니다. 지난 2008년 이란 답사여행 중 품었던 궁금증의 하나가 풀린 느낌이랄까. 당시 이란에서 방영됐던 사극 ‘대장금’은 85%가 넘는 엄청난 시청률를 기록했습니다. 저는 그 때 의문이 생겼습니다. 이역만리 이란에서 ‘대장금’이 이렇게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던 이유가 뭘까. 뭐 그런 의문이었습니다.

그러다 ‘쿠쉬나메’를 보고서야 양국 백성들 사이에 흐르는 뭔가 친연의 DNA를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이제 쿠쉬나메의 내용을 한번 살펴보고, 과연 우리와 이란사람들 사이에 흐르는 친연의 DNA가 무엇인지를 검토해보겠습니다. 이번 주와 다음 주를 기대해 주십시오.

이런 기사 어떠세요?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