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개봉 ‘제보자’ 연출 임순례 감독 “황우석 사태 10년… 언론 역할 다루고 싶었다”

2014.10.01 21:23 입력 2014.10.01 21:37 수정

사실은 ‘진정성’이라는 힘을 가지고 있다. 실화를 기반으로 한 문학작품이나 영화는 종종 큰 울림을 준다. 그것이 세상에 잘 알려진 사건들이 영화로 만들어지는 이유다.

2일 개봉하는 영화 <제보자>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다 알 만한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2005년 대한민국을 큰 충격에 빠뜨렸던 황우석의 줄기세포 논문조작 사건이다. 당시 줄기세포 연구팀에 있던 한 제보자가 ‘줄기세포는 없다’는 사실을 시민단체를 통해서 언론에 제보했다.

MBC 제작진이 이 사실을 집요하게 파헤쳤고, 결국 진실은 세상에 밝혀졌다. 진실이 밝혀지기까지는 지난한 취재과정과 진실을 보도하지 못하게 하려는 외압이 있었다. 영화 <제보자>는 진실을 추적하는 한 PD와 제보자를 중심으로 이러한 내용을 그렸다.

영화 <제보자>의 연출을 맡은 임순례 감독. | 영화인 제공

영화 <제보자>의 연출을 맡은 임순례 감독. | 영화인 제공

최근 서울 강남의 한 카페에서 연출을 맡은 임순례 감독을 만났다. 줄기세포 논문 조작 사태가 일어난 지 10년이 지난 시점에서 나온 <제보자>는 어떤 의미를 가질까. 임 감독은 “이 영화를 통해 언론에 대해 다뤄보고 싶었다”고 말했다. 임 감독은 <제보자>를 줄기세포 조작 진위나 한 개인의 잘못에만 초점을 맞춘 영화로 만들고 싶지 않았다고 한다. 임 감독은 “언론에 의해, 사람들에 의해서 사실이 아닌 것이 어떻게 사실이 되는지 그 ‘과정’을 다루고 싶었다”고 말했다.

“당시 국가에서는 새로운 사업을 찾고 있었죠. 정보기술(IT)은 어느 정도 자리를 잡은 상태였고 바이오산업이 신성장 동력으로 크게 각광을 받기 시작했어요. 그런데 이 바이오산업은 모두의 욕망을 반영할 만한 것이었다고 여겼죠. 생명 연장이 가능하다, 난치병이 완치된다 등 사람들이 열광할 만한 것들이었으니까요. 그리고 황우석이라는 매력적인 인물이 그 중심에 있었고요. 이런 상황에서 언론에 의해 사실이 아닌 것이 사실이 되어가는 과정을 그리고 싶었습니다.”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을 영화로 만드는 것은 ‘강점’이자 ‘약점’이 됐다. 임 감독은 “당시 40대 아저씨들도 ‘미토콘드리아’니 ‘처녀생식’이니 전문용어를 입에 달고 다닐 만큼 이 사건은 언론을 통해 누구에게나 알려져 있었다”며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라 관객들이 이 영화를 지루하게 느낄 수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래서 임 감독은 관객이 영화를 교훈적인 것이 아니라 재미있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신경을 썼다. 그는 “이 영화가 추리물이 아니지만 (추리물과 같은) 장르적인 요소를 많이 사용하려고 했다”고 말했다. 컷 수를 늘려 화면의 속도감이 느껴지도록 했고 배경음악도 긴장감을 고조시킬 수 있는 것들로 넣었다. 중심이 되는 캐릭터들에게도 가볍게 보일 수 있는 요소들을 군데군데 넣었다. 주인공인 윤민철 PD는 진지한 성격이지만 때때로 틈을 보이고 헛웃음이 나오게 하는 농담을 구사하는 것 등이다.

영화 <제보자>의 한 장면.

영화 <제보자>의 한 장면.

과학적인 내용들은 쉽게 전달하기 위한 노력도 했다. 임 감독은 제작팀과 함께 촬영 시작 전 4개월 동안 온갖 자료를 섭렵하며 공부했다. 당시 논문조작을 보도한 수십 개의 뉴스 프로그램들을 봤다. 임 감독은 “생물학적인 지식이 전혀 없어 기본적인 용어를 이해하는 데도 힘이 들었다”고 말했다. 영화 속에서 윤민철 PD(박해일)와 이장환 박사(이경영)가 전문적인 내용으로 설전을 주고받을 때도 관객이 잘 따라갈 수 있도록 몇몇 용어는 자막으로 설명했다.

영화의 제목인 ‘제보자’에는 두 가지 의미가 담겨 있다. 제보자는 영화 속에서 사실을 알리는 제보자 그 자체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논문조작 사실을 국민에게 알리는 언론인 윤민철 PD를 의미하기도 한다. 영화는 전자보다 후자에 더 무게중심을 둔 듯하다. 감독은 이 영화를 통해서 국민들이 언론과 이를 둘러싼 사회에 대해 다시 돌아봤으면 한다고 했다.

“요즘 언론에 대한 신뢰가 많이 떨어졌잖아요. 언론이 외압도 많이 받고 있고요. 관객들이 영화 속 윤 PD의 노력이나 그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외압들을 보면서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에 대해 생각해봤으면 합니다. 기자나 언론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결국 변화는 국민들이 중심에 서야 이뤄지니까요.”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