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장 과잉건설 ‘OB날라’

2009.09.01 04:00
지건태기자

공사중인 골프장 7곳 개장땐 11개로 늘어… 경제성 의구심

골프 대중화를 표방한 인천시가 골프장 건설에 적극 나서고 있다. 최근 7개의 골프장 건설 관련 행정절차를 끝낸 인천시는 앞으로도 2~3개의 골프장을 추가로 허가할 계획이다. 현재 인천에는 4개의 골프장이 운영되고 있다. 이미 시 허가를 받아 공사 중인 골프장이 계획대로 들어서면 모두 11개로 늘어난다.

인천시는 이들 골프장이 건설되면 지방세수가 늘어나고 해외로 빠져나가는 외화를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골프장 난립으로 운영이 어려워질 경우 시에 부담이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환경단체와의 마찰 등으로 행정력만 낭비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2014년을 전후해 인천지역에 총 13개 골프장이 들어설 계획이어서 과잉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31일 인천 송도국제도시에서 모 골프장의 조성공사가 한창 진행되고 있다.  김순철기자

2014년을 전후해 인천지역에 총 13개 골프장이 들어설 계획이어서 과잉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31일 인천 송도국제도시에서 모 골프장의 조성공사가 한창 진행되고 있다. 김순철기자

◇인천, 골프장 몇 개 늘어나나 = 각종 규제를 완화한 현 정부정책으로 인천지역 내 골프장 신청 건수는 최근 급격히 늘고 있다. 인천시도 인천국제공항을 오가는 외국 관광객을 유치하고 해외 원정골프로 인한 외화낭비를 줄이겠다며 신규 골프장 인허가에 관대한 입장이다.

특히 까다로운 인허가 절차를 밟아야 하는 경제자유구역 내 2개의 골프장이 공사에 들어가 내년 개장을 앞두고 있다.

또 문화재보호구역으로 지정돼 각종 개발행위의 제한을 받는 강화도에 지난해에 이어 올해 2개의 골프장이 추가로 건설 승인을 받아 놓은 상태다.

롯데건설이 추진 중인 다남동 대중 골프장도 올해 초 도시관리계획 변경 결정을 받아 공사 착공을 앞두고 있고 CJ그룹 계열사인 (주)씨엔아이레저산업은 굴업도 섬 전체를 매입해 골프장을 포함한 복합레저사업을 준비 중이다. 이들 대기업이 추진 중인 골프장은 지역환경단체의 강한 반발을 사고 있다.

◇골프장, 지역경제에 얼마나 보탬 되나 = 골프장 건설로 우선 세수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 준공 초기 취·등록세를 제외하고 해마다 평균 18홀 규모의 골프장 1곳 당 30~50억 원의 지방세를 납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조세수입으로 229억 원을 거둬들인 강화군의 경우 3개의 골프장이 계획대로 들어서면 절반 이상 세수가 늘어날 수 있다. 또 골프장 1곳 당 평균 100명을 고용한다고 볼 때 800~1000개의 일자리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경제자유구역에 들어서는 골프장 대신 외국기업을 유치할 경우 경제적 기대효과는 그 이상이다. 또 그린벨트와 농림지를 개발하는 것과 보전하는 것에 대한 비교 우위는 쉽게 판단할 수 없다.

더욱이 인천 도심에 10여 개가 넘는 골프장이 난립될 경우 공급과잉에 따른 피해도 예견된다. 회원제로 운영되는 인천 ㄱ골프장의 경우 주말을 제외한 평일 부킹(예약)이 없어 가격할인을 검토하고 있다. 이곳 골프장 관계자는 “골프인구가 아무리 급증해도 적정규모 이상의 골프장이 들어서면 출혈경쟁이 불가피하다”며 “국내에서도 일본처럼 골프장 부도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 골프장 건설에 따른 지역 환경단체의 반발도 점점 거세지고 있다. 인천녹색연합은 시가 계양산에 있는 다남동 골프장 건설계획을 승인한 지난 6월부터 2개월 넘게 안상수 인천시장을 따라다니며 그림자 시위를 벌이고 있다. 유종반 공동대표는 “당장의 이익보다 무분별한 골프장 증설로 후손에게 물려줘야 할 환경이 오염되거나 훼손되지 않도록 보다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