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원건설 파산 절차…건설사 파산 도미노 우려

2014.07.01 17:10 입력 2014.07.01 17:11 수정
비즈앤라이프팀

아파트 브랜드 ‘쌍떼빌’로 유명한 중견건설사 성원건설이 파산 절차를 밟고 있다. 기업재무구조 개선작업(워크아웃)이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진행 중인 건설사들의 파산 도미노가 우려된다.

성원건설 파산 절차…건설사 파산 도미노 우려

1일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성원건설은 지난 13일 수원지방법원에 회생절차 폐지를 신청했다. 이에 따라 4일까지 채권단협의회 등의 의결을 받은 후 이의신청이 없을 경우 법원이 파산 선고를 내리게 된다.

성원건설은 1977년 태우종합개발로 출발해 2000년대 아파트 브랜드 ‘쌍떼빌’로 전성기를 맞아 한때 시공순위 58위까지 올랐다. 그러나 2000년대 후반 부동산 경기침체와 해외건설 미수금 문제 등이 겹치며 2010년 수원지방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이후 2012년 2월부터 수차례에 걸쳐 인수합병(M&A)을 추진했으나, 채권단이 인수가격이 낮다는 이유 등으로 반대해 협상이 최종 무산되면서 파산 위기에 몰렸다.

앞서 4월 벽산건설이 사실상 파산했으며, 해외건설에서 두각을 보였던 쌍용건설도 자본 잠식으로 상장폐지를 앞두고 있다. 벽산건설과 쌍용건설 외 현재 법정관리 중인 10여개 중견건설사도 인수합병 등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지만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2013년 기준 시공능력평가순위 100위 내 건설사 중 금호산업을 포함해 경남기업, 고려개발, 진흥기업, 삼호, 동문건설, 신동아건설, 동일토건 등 8곳이 워크아웃 중이다.

파산 절차를 밟게 된 벽산건설을 비롯해 쌍용건설, 극동건설, 남광토건, 동양건설산업, 한일건설, LIG건설, 우림건설, STX건설, 남양건설 등 10곳은 법정관리에 놓여 있다.

이들 건설사 중 올해 워크아웃 졸업이 확실시되는 금호산업과 대림산업 계열의 고려개발, 삼호를 제외하고 경영여건이 개선되고 있는 곳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

LIG건설은 지난해 5월부터 매각작업을 진행 중이지만 2차례 모두 자금 조달 계획 불투명 등을 이유로 유찰됐다. 남광토건과 우림건설 등도 인수합병을 추진 중이지만 진척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업계 관계자는 “건설경기 침체가 계속되고 건설업체를 인수했던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섣불리 인수합병을 시도하려는 기업은 적을 것”이라며 “중견기업은 하루하루 생존의 고비를 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