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은 총재 “북한 리스크 더 고조되면 실물경제 부정적 영향”

2017.10.01 13:29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앞으로 북한 리스크가 더 고조된다면 실물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반도 지정학적 리스크와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를 주시해야할 변수로 꼽았다.

이주열 한은 총재

이주열 한은 총재

이 총재는 지난달 29일 인천광역시 한은 인재개발원에서 열린 기자단 워크숍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북한 관련 리스크가 한달 전 금융통화위원회 회의(8월 31일) 때보다 더 커지면서 최근 금융시장 변동성이 높아진 게 사실이지만 다행히 지표상으로는 아직까지 실물경제에 부정적 효과가 파급되지 않은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그렇지만 앞으로 북한 리스크가 더 고조된다면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높이고 경제주체들의 심리 위축 등을 통해 실물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외국인 자금 유출 우려에 대해 이 총재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경계감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나 본격적으로 국내 채권을 매도하는 움직임은 파악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앞으로 면밀히 점검해 나갈 필요가 있는 대외여건으로 지정학적 리스크와 함께 주요국 통화정책 움직임을 들었다. 그는 “미 연준은 지난주 FOMC회의에서 10월부터 보유자산을 축소하기로 결정했으며 위원들의 정책금리 전망이 크게 바뀌지 않은 데다 며칠전 옐런 의장도 점진적이지만 꾸준하게 금리인상 기조를 이어갈 것임을 시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유럽중앙은행은 자산매입프로그램 조정계획을 조만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고, 영란은행에서도 완화정도 축소 의견이 제기됐으며 캐나다 중앙은행은 7월에 이어 9월에도 정책금리를 인상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이러한 움직임은 각국 경제의 회복세를 반영한 것이긴 하지만 여러 중앙은행들이 동시에 통화정책 정상화를 추진할 경우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소지가 있으므로 전개과정을 면밀히 모니터링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오는 10일 만기가 돌아오는 한국과 중국 간 통화스와프 연장 여부에 대해 이 총재는 “협의를 쭉 해왔으며 가급적 빨리 결론을 내고 싶은 생각이고 중국 인민은행도 입장이 다르지 않다”면서 “협의를 하다 보면 여러 가지 고려사항이 생긴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 총재는 “열흘 동안 추석 연휴가 시작되는데 마음은 그렇게 가볍지 못하다”며 “무엇보다 한반도 정세가 불확실하게 돌아가고 있어서 마음 편히 쉬지는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