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C, 감산 연장 합의···주유소 기름값 계속 오를까

2017.12.01 14:58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산유량 감산을 내년 말까지 연장하는 데 합의했다. OPEC 비회원국인 러시아도 동참하게 되면서 국제유가도 상승세를 탈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미국의 셰일가스 증산 등이 국제유가의 고공행진을 억제할 것으로 전망된다.

11월30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OPEC 정기총회에서 회원국들은 원유시장의 수급 개선을 위해 감산 합의안 이행을 내년 말까지 연장하는 데 잠정 합의했다.

감산량은 OPEC 회원국은 하루 평균 120만배럴, 비회원국은 60만배럴로 기존과 같다. 올해처럼 내년에도 2~3개월에 한 번씩 감산 이행점검 회의가 개최된다. 다만 러시아가 내년 6월 중간 점검회의를 열자고 요구해 감산으로 인한 국제유가 상승이 지속적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감산 연장 합의에도 국제유가는 소폭 오르는 데 그쳤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내년 1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배럴당 0.17%(10센트) 오른 57.4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 내년 1월물은 배럴당 0.72%(46센트) 오른 63.57달러에 거래됐다.

지난달 26일 휘발유 가격이 ℓ당 1866원으로 표시된 서울시내 한 주유소에 승용차들이 주유하기 위해 줄을 서 있다.<br /> 이상훈 선임기자 doolee@kyunghyang.com

지난달 26일 휘발유 가격이 ℓ당 1866원으로 표시된 서울시내 한 주유소에 승용차들이 주유하기 위해 줄을 서 있다.
 이상훈 선임기자 doolee@kyunghyang.com

올해 국제유가는 연초 배럴당 50달러대 초반까지 상승하다가 지난 6월엔 40달러대 중반까지 떨어졌지만, 3분기에 다시 반등하면서 60달러대에서 오르내리고 있다.

국제유가는 국내 주유소 기름값에도 곧바로 영향을 미쳤다.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올해 주유소에서 판매된 휘발유 평균가격은 2월에 1516.65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7월엔 1438.62까지 하락했다. 하지만 8월부터 계속 오르면서 11월30일엔 1533.76원을 기록하는 등 줄곧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산유국들이 감산을 연장했지만 상승폭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민성환 산업연구원 동향분석실장은 “미국 셰일가스 업체들의 증산과 러시아의 감산 이탈 가능성 등이 유가 상승폭을 제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도 “앞으로 국제유가는 오르락내리락 하겠지만 월평균으로 보면 60달러 안에서 맴돌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현대경제연구원이 내놓은 ‘국제유가 상승의 한국 경제 파급 효과’ 보고서를 보면 국제유가가 배럴당 60달러까지 상승하면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0.22%, 80달러로 오르면 실질 GDP는 0.96%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상품 선물시장 등을 활용해 유가 변동성의 위험을 분산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신재생에너지 등 에너지원 다변화, 에너지 절약형 신사업 육성 등으로 국내 경제가 유가 변동에 강한 경제 체질로 개선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