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에서 위험 상황 알려주는 ‘스마트 가로등’ 나온다

2019.04.01 11:00 입력 2019.04.01 14:48 수정

국토부, 다부처 협업 스마트 도로조명 플랫폼 개발

스마트 도로조명 서비스 형태. 국토교통부

스마트 도로조명 서비스 형태. 국토교통부

도로에서 위험상황을 알려주는 똑똑한 가로등이 나온다.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가로등과 결합해 각종 도로 정보를 수집하고 보행자와 운전자에게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원리다.

국토교통부는 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행정안전부와 공동으로 ‘스마트 도로조명 플랫폼 개발 및 실증연구’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단순히 불빛만 비춰주는 가로등에서 벗어나 스마트 가로등을 통해 사고나 정체, 결빙, 교통량, 보행자 경로, 차량 이동방향·속도 등 각종 도로환경 정보를 수집한다는 계획이다.

예를 들어, 새벽 빗길에 보행자가 길을 건널 때 과속 차량이 다가오면 설치된 도로조명은 횡단보도 발광 표시장치를 통해 경고한다. 위험차량 접근 안내 문구와 음성을 통해서도 보행자의 주의를 환기시킨다. 운전자 차량에는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해 전방 300m 내에 보행자가 있음을 알리고 디지털 사인을 이용해 속도를 줄일 것을 안내한다. 전방 교차로에서 차량 충돌 사고가 난 경우에는 우회도로를 안내한다.

횡단보도나 교차로, 터널 등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지역에서 돌발상황이 발생했을 때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즉시 대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이번 사업은 3개 이상 부처가 협업하는 다부처 R&D 사업으로 2023년까지 예산 총 260억원을 투입한다. 강성습 국토부 첨단도로안전과장은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안전 시설물이 부족한 국도·광역시도 등 도심 내 사고 다발지역에 맞춤형 안전 컨트롤 타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