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등 사회책임 경영 기업, 은행 대출·금리 우대받는다

2010.06.01 18:11 입력 2010.06.02 01:28 수정

국민·우리 등 신용평가때 반영

일자리 창출과 환경보호 등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기업 신용평가에 반영하는 은행들이 늘고 있다. 기업 신용등급은 기업의 대출가능 여부와 대출금리 수준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로 은행권의 이런 움직임이 기업의 사회공헌을 활성화하는 촉매제가 될지 주목된다.

1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최근 외부감사대상 중소기업의 신용평가 때 기업의 ‘사회적 책임경영 실천 정도’를 반영하고 있다. 국민은행은 일자리 창출 기여도와 사회복지사업 참여도, 환경보호 실천, 녹색성장산업에 대한 투자, 녹색기술 활용, 윤리경영 실천 등 각종 사회적 책임활동을 A, B, C, D, E 5단계로 평가해 신용도에 반영한다. A등급과 E등급은 100점 중 최대 5.6점의 차이가 발생한다.

국민은행은 앞서 지난해 9월부터 자체적으로 환경경영 평가표, 녹색성장산업 평가표, PF대출 환경위험 평가표 등 3가지의 친환경지표를 마련해 여신금액이 80억원을 넘는 기업들에 대한 신용평가에 활용하고 있다. 지난 4월부터는 평가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외부기관의 환경평가결과를 반영하고 있다.

우리은행도 지난해 8월부터 신성장 녹색기업과 환경경영 인증시스템 획득 기업 등에 담보인정비율을 10% 가산해주고 있다. 또 신규대출이나 대출기간 연장 때에도 신성장 녹색산업 선정 업종에 대해서는 금리와 수수료를 우대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환경 부문을 기업의 비재무항목 평가 때 반영하고 있으며 신한은행도 이달 중 관련시스템을 개발해 신용평가에 반영할 계획이다. 기업은행은 지난해 12월부터 중소기업의 온실가스 배출관리 및 녹색시장 진출 전략을 제언하는 컨설팅을 실시하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이 매기는 신용평가등급은 해당기업의 대출여부는 물론 금리까지 결정하기 때문에 기업들의 사회공헌도를 높이는 데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호준 기자>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