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올린 이주열 “가계, 차입·저축·투자시 적응해나가야”

2017.12.01 10:15 입력 2017.12.01 10:17 수정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일 “가계는 차입이나 저축 또는 투자 등에 관한 의사 결정에 있어 이전과는 달라진 환경에 적응해나가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전날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가계 대출이자 등이 올라가는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3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삼성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김기남 기자 kknphoto@kyunghyang.com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3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삼성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김기남 기자 kknphoto@kyunghyang.com

이 총재는 이날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시중 은행장들과 금융협의회를 열어 기준금리 인상 배경을 설명하며 이같이 말했다.

한은은 전날 기준금리를 1.25%에서 1.5%로 1년 5개월만에 0.25%포인트 올렸다. 금리를 인상한 일은 2011년 6월 3.25%로 올린 이래 6년 5개월 만에 처음이다.

이 총재는 “우리 경제가 3% 정도의 잠재성장률 수준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며 “물가상승률도 도시가스 요금 인하, 대규모 할인행사 등 일회성 요인 때문에 1%대 중반 수준을 보이지만 경기가 회복함에 따라 목표 수준인 2%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 같은 여건에서 기준금리를 종전 수준으로 그대로 유지할 경우 가계부채 누증과 같은 금융 불균형이 확대될 수 있다”며 “통화정책 완화의 정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경기 회복세가 뚜렷해진 상황에서 1.5%로 올려도 낮은 편인 금리인데 기존대로 그대로 낮게 유지했을 경우 가계부채가 더 늘어나는 등 문제가 커질 수 있어서 긴축할 필요가 있다는 의미다. 이어 “기준금리를 인상했지만, 전반적인 금융 상황은 완화적일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일단 기준금리 인상에도 시중금리는 미리 반영돼 올랐기 때문에 시장은 큰 충격이 없다고 한은은 봤다.

이 총재는 “그동안 기준금리 인상 기대가 가격 변수에 어느 정도 선반영된 결과 어제 채권시장은 차분한 모습을 보였으며 원·달러 환율이 오히려 상승했다”며 시장 상황을 설명했다.

이 총재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상화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고 일부 주요국에서도 경기 회복에 맞춰 통화정책 방향의 전환이 예상되는 등 오랜 기간 지속돼 온 완화 기조의 축소가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에서의 흐름”이라고 말해 기준금리 인상은 주요국 중앙은행의 추세라는 점을 지적했다.

이 총재는 “가계는 차입이나 저축 또는 투자 등에 관한 의사 결정에 있어 이전과는 달라진 환경에 적응해나가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