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주 10명 중 6명 “1가구 1주택 꼭 필요”···주택보유율은 소폭 증가

2019.01.17 12:22 입력 2019.01.17 15:02 수정

국내 가구주 10명 중 6명은 ‘1가구 1주택’이 필요하다고 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반가구의 주택보유율은 61.8%로 전년보다 소폭 증가했다.

주택금융공사가 17일 공개한 ‘주택금융 및 보금자리론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일반가구 5000가구 중 62.1%는 “실제 거주할 목적의 1가구 1주택은 꼭 필요하다”고 답했다.

주택금융공사 제공.

주택금융공사 제공.

실거주 목적의 주택이 필요하다는 답한 이들은 연령이 높을수록, 소득수준이 높아질수록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30대 이하 59.0%, 40대 60.9%, 50대 62.6%, 60대 이상 65.0%가 실거주 목적의 주택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소득별로는 가구소득 1분위 59.4%, 2분위 61.2%, 3분위 62.5%, 4분위 62%, 5분위의 65.7%가 주택 소유가 꼭 필요하다고 밝혔다.

일반가구 5000가구 중 29.2%는 향후 주택구입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전년도 31.9%보다 2.7%포인트 낮아진 것이다. 반면 무주택자 1909가구의 50.7%는 주택을 구입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역별로는 서울 41.7%, 경기 35.3%, 광역시 25.4%, 기타지역 20.0% 순이며, 가구주 연령별로는 30대 이하 가구가 주택 의향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주택을 사지 않으려는 가장 큰 이유로는 ‘현재 상황에서 주택을 구입하기 위한 자금 마련이나 대출을 받는 것이 부담스럽다’가 54.9%, ‘반드시 내집마련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아서’가 22.5%로 조사됐다. 무주택 가구주의 32.7%는 1년 후 주택 가격이 오를 것으로 봤다. 주택 가격이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은 50.7%, 하락한다는 응답은 16.9%로 나왔다.

주택 구매 의향이 있는 가구가 선호하는 주택 가격의 평균은 3억3161만원이다. 대부분이 아파트를 선호했다. 일반가구의 주택보유율은 61.8%로 전년보다 2.2%포인트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30대 이하 가구의 주택 보유율은 33.0%로 40대 이상 가구의 절반 수준이었다. 특히 30대 이하 가구주 5명 중 1명은 주거환경이 안정적이면 전·월세 등 임차 형태로 주택을 사용하겠다고 응답했다.

응답자들은 정부의 공공임대 주택 확대 정책이 필요하다고 봤다. 일반 가구주의 40.7%는 수요자 맞춤형 공공임대 주택 확대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내 집 마련을 위한 공적지원 확대가 30.5%로 그 뒤를 이었다. 임대차시장 안정성 강화는 18.2%였다.

한편 일반가구 5000가구의 월 가구 총 소득 평균은 386만원이며 이중 34.8%가 주택금융상품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상품별로는 주택담보대출 26.4%, 전세자금대출 7.8%, 중도금대출 0.8%로 나타났다. 주택담보대출 이용 시 설정한 만기는 20년이 32.5%로 가장 많았다.

주택금융공사 제공.

주택금융공사 제공.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