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반박에 한발 물러선 이복현 “공매도 재개 가능성 다양하게 검토”

2024.05.23 19:42 입력 2024.05.23 19:52 수정

이복현 원장, 언론사 인터뷰서 ‘공매도 논란’ 해명

대통령실 반박에 한발 물러선 이복현 “공매도 재개 가능성 다양하게 검토”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최근 공매도 재개 시점을 두고 대통령실과 생긴 엇박자 논란에 대해 “공매도 재개 가능성, 재개 방식, 시점 등에 대해 다양한 옵션을 검토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이 원장은 23일 KBS2 ‘경제 콘서트’에 출연해 “6월 중으로 재개 여부와 시점, 재개를 하지 않게 되면 앞으로 어떤 기준으로 공매도를 재개하게 될 지 등을 설명해야 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최근 벌어진 공매도 엇박자 논란에 대해선 “공매도를 일부 재개하면 좋겠다는 개인적인 욕심을 말한 것이고, 못하게 되더라도 언제 어떤 방식으로 재개할 수 있을지 예측 가능성을 높이자는 취지로 말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시스템을 마련한 이후에 공매도 관련 의사결정을 하겠다는 원칙은 변한 적이 없다”며 “밸류업과 관련해서도 외국인 투자자가 언제쯤 공매도가 재가되는 것인지에 대한 스케줄을 알려달라는 요구가 많다”고도 설명했다.

공매도가 대형주 중심으로 일부 재개되면 대형주 주가가 떨어지고 테마주가 극성을 부리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는 “전산시스템이 완비되고, 공매도 재개가 준비된 시점에 우량주에 대해 공매도가 이뤄지면 주가를 올리거나 거래량을 많이 늘리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이 이날 해명한 공매도 논란은 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투자설명회(IR) 출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언급했던 공매도 시점에 대한 것이다. 이 원장은 당시 “개인적인 욕심이나 계획은 6월 중 공매도 일부 재개를 하는 것”이라며 “기술적·제도적 미비점이 있더라도 이해관계자 의견을 들어 어떤 타임 프레임으로 재개를 추진하고 있다는 점을 시장과 소통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발언은 올초 “부작용을 완벽하게 해소할 수 있는 이런 전자 시스템이 확실하게 구축이 될 때” 공매도를 재개하겠다던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과 상충했다. 정부가 현재 추진 중인 불법공매도 방지 전산시스템은 내년 하반기쯤으로 예상됐기 때문에, 최소 공매도 재개가 그때까지 미뤄질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금감원장의 6월 재개설이 나온 것이다.

대통령실은 전날 “불법 공매도 문제를 해소하고 투자자가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질 때까지 공매도는 재개하지 않는다”며 “금감원장의 발언은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에서 나온 개인적인 희망 차원”이라고 선을 그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