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대기업 최고경영자 “경제민주화 사안들 기업 자율에 맡겨야”

2013.01.01 21:19 입력 2013.01.01 23:17 수정

대기업 최고경영자들은 올해 재계의 최대 이슈인 경제민주화 관련 사안들에 대해 “기업 자율에 맡겨야 한다”는 견해를 내비쳤다. 올 한 해 투자와 고용 규모에 대해선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밝힌 기업들이 많았다.

경향신문이 국내 30대 대기업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에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라는 질문에 최고경영자 19명(63%)이 ‘기업 자율에 맡기는 것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문제는 경제민주화와 관련된 핵심 이슈다. 최고경영자들 대다수가 새 정부의 경제민주화 정책 추진 시 기업의 자율성을 보장해달라는 의견을 피력한 셈이다. 다른 최고경영자 9명(30%)은 동반성장에 가장 필요한 것으로 ‘성과공유제 확대’라고 답했다.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 확대’를 꼽은 최고경영자는 2명에 그쳤다.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확대’의 경우 단 한 명의 최고경영자도 지지하지 않았다.

경제민주화의 또 다른 핵심 이슈인 비정규직 문제에도 유사한 견해를 보였다. ‘올해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계획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18명(60%)이 ‘현 상태를 유지하겠다’고 응답했다. ‘적극적으로 전환하겠다’고 응답한 기업은 1곳에 불과했다. ‘내년 이후 고려하겠다’고 응답한 최고경영자는 8명(27%)이었다.

대기업들은 올해 채용, 투자 규모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채용의 경우 ‘동결’로 응답한 최고경영자가 12명(40%)으로 가장 많았고, 통상적인 채용규모인 ‘0~5% 미만’으로 응답한 최고경영자는 9명(30%)이었다. 투자에 대해선 16명(53%)이 ‘지난해 수준’이라고 응답했다. ‘지난해보다 확대’는 6명, ‘지난해보다 축소’는 5명이었다.

급여는 소폭 인상될 것으로 전망했다. 급여 인상폭을 묻는 질문에 20명이 ‘0~5% 수준’이라고 응답했다. ‘불확실하다’는 응답은 6명, ‘동결하겠다’는 응답은 4명이었다.

올해 수출과 내수는 지난해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수출과 내수 전망에 대해 각각 17명이 ‘올해와 같거나 비슷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올해 예상되는 가장 큰 애로사항은 13명이 ‘수출 둔화’를 꼽았고, 다음은 ‘원자재 가격 상승’(11명), ‘중국 경제 경착륙’(5명) 등의 순이었다. 수출을 위한 환율 마지노선으로는 가장 많은 기업인 12곳이 ‘1050원’을 꼽았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