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세대 실손보험 손해율 130%로 급등…“비급여 관리 강화해야”

2024.06.17 08:27 입력 2024.06.17 10:50 수정

도수·체외충격파 등 비급여 지급액 늘어

자기부담금비율 높였어도 과잉의료 지속

4세대 실손보험 손해율 130%로 급등…“비급여 관리 강화해야”

4세대 실손보험의 손해율이 올해 1분기 130%를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비급여 자기부담금을 높였음에도 도수·체외충격파·증식치료 등 비급여 주사료 항목에서 과잉진료가 계속되면서 손해율이 오른 것이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현대해상·KB손해보험·DB손해보험·메리츠화재 5개 손해보험사의 올 1분기 실손보험 손해율은 128.0%로 작년 동기(126.3%) 대비 1.7% 상승했다. 100%를 웃도는 손해율은 실손보험에서 적자가 이어지고 있다는 의미다. 특히 4세대 실손보험 손해율이 134.0%로 작년 1분기와 비교해 15.6%포인트 급등했다.

2021년 도입된 4세대 실손보험은 과잉 진료를 억제하기 위해 진료비 자기부담비율이 높게 설계됐음에도 손해율이 치솟고 있다. 4세대 실손 손해율은 2021년 62.0%, 2022년 88.8%, 2023년 115.5%, 올해 1분기 134.0%로 지속해서 급등하고 있다. 1세대(작년 124.9→올해 1분기 123.5%), 2세대(117.0→120.5%), 3세대(159.1→155.5%) 등의 손해율은 작년과 비슷한 수준이다.

손해율이 올라간 배경에는 도수·체외충격파·증식치료, 비급여 주사료 등 비급여 항목이 있다. 비급여 의료는 의료기관이 가격을 임의로 설정하고 진료 횟수, 양 등을 남용할 수 있어 일부 의료기관과 소비자의 과잉의료가 지속되고 있다.

5개사의 올해 1∼5월 실손보험금 지급액은 총 3조844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2% 늘었는데 이중 비급여 지급액은 2조2058억원으로 11.3%, 급여 지급액은 1조6385억원으로 11.0% 증가했다.

전체 실손에서 급여 지급액이 20.7% 늘고, 비급여 지급액이 단 2.0% 늘었던 2023년과 비교하면 비급여 증가세가 크게 높아진 셈이다.

진료과목별로는 코로나19 이후 호흡기 질환이 증가한 영향으로 이비인후과(20.5%)의 실손 지급액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그다음으로는 정형외과(15.1%), 비뇨의학과(15.1%), 소아청소년과(14.5%), 한방병원(11.0%) 등 순이었다. 도수·체외충격파·증식치료 등 영향으로 정형외과 지급액 8645억원 중 비급여 지급액은 6089억원으로 70.4%에 달했다.

비뇨의학과에서는 전립선 결찰술을 사용 대상(50세 이상 등)을 벗어나 사용하거나 입원을 권유하고, 한방병원에서는 한방 의료 항목의 급여화 및 한방 협진 등으로 실손보험금 청구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 금융당국의 보험개혁회의,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서 실손보험 개편방안을 논의 중인 만큼 이번 기회에 보장 범위를 합리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