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들, 머리 맞대고 인공지능 연구

2016.03.17 22:05 입력 2016.03.17 22:07 수정

삼성전자 등 6개사 30억원씩 출자 ‘지능정보기술연구소’ 설립

언어지능은 3년 내 세계 1위 목표 …정부 1조 지원·DB도 공유

인공지능 기술을 연구하는 민간연구소가 이르면 올해 상반기 안에 설립된다. 신속한 의사결정과 성과창출을 위해서는 정부 주도보다 민간기업 형태가 적합하다고 판단, 민간연구소로 만든다. 정부는 지원 역할을 맡는다. 한국의 인공지능 기술 수준은 현재 선두인 미국과 2.4년의 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국내 지능정보 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기준 3.2% 수준이다.

대기업들, 머리 맞대고 인공지능 연구

미래창조과학부는 17일 박근혜 대통령에게 ‘지능정보산업 발전 전략’을 보고하고, 인공지능을 포함한 지능정보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앞으로 5년간 총 1조원을 투자하고 이를 바탕으로 민간의 투자도 같은 기간 2조5000억원 이상 이뤄지도록 유도키로 했다. 지능정보기술이란 인공지능 소프트웨어(SW)로 대표되는 ‘지능’에 빅 데이터,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등의 정보가 결합된 기술을 말한다. 인공지능보다 광의의 개념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지능정보기술의 경우 현재 선두는 있지만 주도권은 없는 각축장이 벌어지고 있다”며 “민관이 힘을 모아 쫓아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단 민관이 연구역량과 데이터를 결집할 수 있는 기업형 연구소 형태의 지능정보기술 연구소가 설립된다. 전자제품 제조사인 삼성전자·LG전자, 이동통신사인 SK텔레콤과 KT, 네이버, 현대자동차 등 6개 기업이 연구소 설립에 참여하기로 했다. 연구소는 우선 참여 기업들이 30억원씩 출자해 총 연구인력 50명 안팎의 규모로 문을 열 전망이다.

연구소는 구체적으로 언어지능, 시각지능, 공간지능, 감성지능, 요약·창작지능 등 5개 분야 지능형 소프트웨어 개발을 플래그십 프로젝트로 정해 집중적으로 연구할 예정이다. 언어지능의 경우 언어로 구현된 각종 지식을 축적해 2019년까지 이 분야에서 세계 1위가 되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인공지능이 스스로 영화의 스토리를 이해해 이를 영상으로 요약·압축하는 능력을 놓고 인간과 대결(2020년)을 벌이도록 할 계획이다.

응용 분야 외에 지능정보기술 발전의 기반이 될 슈퍼컴퓨터, 신경칩, 뇌과학·뇌구조, 산업수학 등 기초학문 분야에 대한 연구도 정부가 지원할 예정이다.

인공지능의 비약적인 발전에는 ‘빅 데이터’ 산업의 발전이 밑거름이 됐다. 인공지능의 발전을 위해서는 기계가 학습하고 분석할 수 있는 방대한 데이터가 갖춰져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그동안 정부·기업·연구소 등이 각각 구축한 데이터의 공유를 촉진해 데이터 인프라를 구축하기로 했다. 의료·문화·금융 등 분야별 국내 민간·정부가 보유한 데이터 관련 정보를 알려주는 ‘데이터 소재 정보 서비스’를 추진하고, 언어·시각·감성 등 지능 분야별 연구용 데이터베이스, 전문가 시스템 개발 지원을 위한 전문지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공개할 계획이다. 또 코리아 IT(정보기술) 펀드(KIF) 등을 활용해 지능정보기술 분야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지원에도 나설 계획이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