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질환자, 겨울엔 뇌졸중 더 조심을

2018.12.11 21:22 입력 2018.12.11 21:26 수정

발음 어눌·마비 증상 땐 병원으로

만성질환자, 겨울엔 뇌졸중 더 조심을

뇌졸중은 혈전이 뇌혈관을 막아 혈액 공급이 차단되면서 뇌가 손상되는 허혈성 뇌졸중(뇌경색)과 뇌혈관이 터지면서 뇌 안에 피가 고여 뇌가 손상되는 출혈성 뇌졸중(뇌출혈)으로 크게 나뉜다.

에이치플러스(H+)양지병원 신경과 강석재 과장은 “특히 겨울철에는 갑작스러운 기온 변화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만성질환이 있거나 가족력이 있다면 더욱 조심할 것”을 당부했다.

뇌졸중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시간이다. 빨리(골든타임 2~3시간) 치료를 받아야 생존율을 높이고 후유증을 줄일 수 있다. 뇌졸중이 발병하기 전에는 주로 전조증상이 나타난다. 대표적 전조증상은 갑자기 어눌해지는 발음, 한쪽 팔다리가 저리고 힘이 빠지는 경우, 한쪽 눈이 안 보이거나 물체가 두 개로 겹쳐 보이는 상태, 구토(감)를 동반한 어지러움, 망치로 맞는 듯한 극심한 두통, 얼굴 등 신체마비(주로 반쪽 부분), 신체 반쪽의 피부감각 저하 등이다. 이런 전조증상 없이도 갑작스럽게 나타나기도 한다.

뇌졸중 위험 여부를 알아보는 데 초음파 검사가 기본적으로 유용하다. 경동맥초음파를 통해 경동맥내중막 두께를 측정했을 때 1.7㎜ 이상이면 동맥경화 진단을 내리는데, 이런 환자에서 뇌졸중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부정맥이나 고혈압 환자도 요주의 대상이다.

강 과장은 “평상시 꾸준한 운동과 균형 있는 식생활, 금연과 금주, 스트레스 해소 등을 통해 혈관건강 관리에 신경을 쓰라”고 조언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