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원전 인근 바닷물 담수화 공방…부산, 수돗물 공급 ‘주민투표’ 가나

2015.12.01 22:09 입력 2015.12.01 22:18 수정

시 “전문기관 1년간 검사 의뢰, 방사성물질 검출 안돼

대책위 “핵종 삼중수소 못 걸러내”…반대 서명부 제출

부산시가 고리원자력발전소 부근 바닷물을 담수화해 수돗물로 공급하려고 하자 부산 기장군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바닷물을 담수화해 수돗물로 공급하려는 시도는 두 번째다. 부산시는 지난해 12월 담수화시설이 바닷물에 포함된 방사성물질을 걸러내지 못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자 시설 가동을 연기했다. 부산시는 1년간 전문기관에 조사를 의뢰한 결과 방사성물질이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연내에 수돗물로 공급할 태세다. 반대 주민들은 “싫다는데 왜 억지로 먹이려 하느냐”며 주민투표로 결정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부산시는 지난 1년간 권위 있는 기관에 검사를 의뢰한 결과 방사성물질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지난달 30일 발표했다. 검사는 부산시가 미국국제위생재단, 한국원자력연구원, 부경대, 부산시보건환경연구원, 상수도수질연구소 등에 의뢰해 이뤄졌다. 원전 주변에서 발생 가능한 방사성물질 72종에 대해 79회 검사가 진행됐으며 방사성물질은 한 차례도 검출되지 않았다. 주민으로 구성된 수질검증연합위원회의 6차례 검증에서도 모두 불검출로 판명됐다. 부산시는 수질검증연합위원회가 주민 180명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도 발표했다. 84.4%가 “수질검증 결과를 신뢰한다”, 93.4%가 “해수 담수화 수돗물 공급 시 생활용수로 사용하겠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부산시는 “반대 단체의 주장은 더 이상 근거가 없다”며 “사실과 다른 낭설을 퍼뜨리는 무책임한 발언으로 지역사회의 불안감을 야기하는 행위를 중단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이에 해수담수공급반대주민대책협의회와 해수담수반대주민대책위원회는 “현재의 검사방식으로는 미량의 삼중수소는 검출되지 않는다”며 검사 결과에 동의하지 않고 있다. 삼중수소는 원전 배출 방사성물질로 대부분 산소와 반응해 물 형태로 존재한다. 반감기는 12년으로 염색체의 손상과 이상을 유발하는 생물학적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인 핵종이다.

이들은 “수질검증연합위원회는 요식업계, 어촌계 등 오폐수 등을 배출하는 오염 유발자로 구성된 모임이며 설문 응답자 대부분은 주민설명회에 동원된 주민으로 신뢰할 수 없다”고 밝혔다.

대책협의회 정경화 위원장은 “해수 취수 구역은 심각할 정도로 수질이 오염된 상태로 해저는 백화현상이 진행되고 있다”며 “골프장에서 나온 농약이 취수 구역으로 유입되고 있는데 이를 어찌 수돗물로 마시라는 것인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공급 여부는 주민투표로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1일 해수 담수화 수돗물 공급에 반대하는 8000여명의 주민 서명을 부산시의회에 제출했으며, 2일에는 부산시장에게 제출하기로 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