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년 만에 가족 품에 안긴 호국영령…‘영웅’이 지킨 땅에서 자란 농산물로 답례한 주민

2024.06.20 13:58 입력 2024.06.20 14:37 수정

경북 칠곡군 가산면 응추리에서 20일 마을주민들이 한국전쟁 당시 마을을 지키다 숨진 고 김희정 육군 중위의 추모식을 열고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칠곡군 제공

경북 칠곡군 가산면 응추리에서 20일 마을주민들이 한국전쟁 당시 마을을 지키다 숨진 고 김희정 육군 중위의 추모식을 열고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칠곡군 제공

‘당신이 목숨과 바꾼 생명 같은 땅에서 자란 농산물을 보냅니다.’

경북 칠곡군 가산면 가산우체국에서 20일 응추리 주민 20여명이 농산물을 종이상자에 담으며 상자 위에 이러한 글귀를 써 내려갔다. 종이상자에는 주민들이 직접 재배한 고사리·참기름·마늘·쌀·감자 등이 가득 담겼다. 이 상자의 수신인은 마을을 지키다 산화한 고 김희정 육군 중위의 유가족들이다.

김 중위는 해방 이후 국방경비대에 입대해 부사관으로 복무 중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제1사단 15연대 소속으로 참전했다. 1950년 9월5일 ‘가산-팔공산 전투’ 중 현지에서 장교로 임관한 그는 보름 만인 9월19일, 27세의 젊은 나이로 전사했다.

‘가산-팔공산 전투’는 낙동강 방어선의 동쪽 측면을 방어하기 위한 전투로 국군 제1사단이 1950년 8월30일부터 9월22일까지 대구로 남하를 시도하던 북한군 1사단의 공세를 저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전투다.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은 “경북 칠곡군 가산면 인근 야산에서 전투가 치열했다”는 참전용사의 증언 등을 토대로 2022년 9월 발굴을 나선 결과, 경사면에 곧게 누운 자세로 머리뼈부터 발뼈까지 완전한 형태로 남아있는 김 중위 유해를 수습했다. 74년 만에 가족의 품으로 돌아간 고인은 지난 19일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됐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2022년 경북 칠곡군 가산면 일대에서 발굴한 고 김희정 중위 유해. 연합뉴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2022년 경북 칠곡군 가산면 일대에서 발굴한 고 김희정 중위 유해. 연합뉴스

이 같은 사연을 들은 이종록 응추리 이장은 마을 앞산에서 전사한 김 중위의 사연을 주민들에게 전했다. 이 이장을 비롯한 주민들은 간소한 추모식을 열고 김 중위가 목숨을 걸고 지켜낸 땅에서 자란 농산물을 대구에 사는 유가족에게 보내기로 한 것이다.

이 이장은 “주민 모두가 호국영령들의 희생으로 풍성한 농산물을 수확하는 기쁨을 누리게 됐다는 데 공감했다”며 “참전용사를 기억하고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아가겠다”고 말했다.

이날 응추리 마을에서 열린 추모식에서는 김재욱 칠곡군수와 어린이집 원생 등 30여명이 참석했다. 어린이들이 고사리손으로 꾹꾹 눌러쓴 편지를 낭독하는 시간도 가졌다.

김재욱 칠곡군수는 “칠곡은 한국전쟁 최대 격전지로 대한민국을 구한 호국평화의 도시”라며 “이 땅을 지키다 희생된 수많은 호국영령을 기억하고 감사하는 일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