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세계서 판매되는 자동차의 33%는 중국 브랜드”

2024.06.28 08:38 입력 2024.06.28 10:12 수정

로이터연합뉴스

로이터연합뉴스

2030년 전 세계에서 판매되는 자동차의 3대 중 1대는 중국 자동차 브랜드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개발 효율화와 생산 비용 절감으로 가격에 우위를 점하면서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알릭스파트너스(AlixPartners)는 27일(현지시간) 글로벌 자동차 시장 전망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알릭스파트너스는 올해 중국 자동차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을 21% 예상했는데, 2030년엔 이보다 12%포인트 상승한 33%까지 오를 수 있다고 봤다.

알릭스파트너스는 중국 자동차가 해외에서 성장을 거듭하며 중국 이외 지역의 자동차 판매가 올해 300만대에서 2030년엔 3배 가까이 늘어난 900만대까지 확장될 것이라 봤다. 중국을 제외한 해외 시장 점유율도 올해 3%에서 13%로 급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업체는 “중국 브랜드가 전 세계 모든 시장에서 성장할 것”이라며 “다만, 차량 안전 기준이 강화되고 중국산 수입 전기차에 100% 관세가 부과되는 미국 등 북미 지역과 일본 등에서는 훨씬 작은 규모의 성장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미국을 포함한 북미 지역에서 중국 자동차 점유율은 1%에서 3% 수준, 한국과 일본 시장을 합친 점유율은 올해 1% 이하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그러나 유럽 점유율(6%→12%)을 비롯해 중남미(7%→28%)와 중동 및 아프리카(8%→39%),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3%→31%), 러시아(33%→69%) 등에서 점유율이 급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내 점유율도 59%에서 72%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비야디, 지리 같은 중국 자동차 회사가 급성장할 수 있는 요인으로 원가 우위, 현지화 생산 전략 등을 꼽았다. 중국 자동차 업체들이 효율적인 개발에 나서며 신차 개발 기간이 기존 업체(40개월)의 절반(20개월)밖에 걸리지 않고, ‘중국산’을 앞세워 비용을 35% 줄이고 있다고 봤다. 이 때문에 원가를 줄이면서도 생산을 늘릴 수 있다는 것이다.

알릭스파트너스의 자동차 및 산업 부문 글로벌 공동 리더인 마크 웨이크필드는 “전통적인 자동차 기업들이 중국 자동차와 경쟁하기 위해서는 사업 개발 과정과 차량 개발 속도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