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권거래소 유치 성공한 부산 ‘희색’, 무산된 광주·전남은 ‘울상’…책임론 대두

2014.01.15 21:35

부산 KRX 운영자로 확정

탄소배출권거래소 유치에 성공한 부산과 유치에 실패한 광주·전남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환경부는 지난 14일 부산의 한국거래소(KRX)를 탄소배출권거래소 운영자로 최종 확정했다. 앞서 총리실 산하 녹색성장위원회는 전체회의를 열고 부산의 KRX를 운영자로 결정해 환경부에 통보했다.

부산시는 15일 “탄소배출권거래소는 부산이 금융중심지 기반을 닦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환영의 뜻을 표했다.

부산시는 탄소배출권 거래기업 및 탄소펀드 운영 금융기관, 컨설팅업 등 탄소와 관련한 산업집적지가 형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탄소저감도시’라는 도시 이미지가 형성될 것으로 보고 있다. 높은 소득과 전문성을 지닌 ‘좋은 일자리’도 크게 늘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녹색성장위원회와 국회를 수시로 방문해 탄소배출권거래소를 부산 문현혁신도시의 금융중심지 육성정책과 연계해줄 것을 건의하는 한편 대시민 홍보활동을 전개한 것이 주효한 것 같다”고 말했다.

앞서 부산시는 2008년 탄소배출권거래소 유치 등을 포함한 부산금융중심지 개발계획을 발표했다. 이듬해 1월 녹색성장위원회에 부산 유치를 제안했다. 이어 부산시와 KRX는 2010년 4월 부산 유치를 위한 상호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유치추진위원회를 구성해 대외 홍보활동에 나서는 등 꾸준하게 유치활동을 벌였다.

광주·전남은 탄소배출권거래소 유치가 무산되면서 책임론이 나오고 있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2009년 11월 전남 나주에 들어서는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에 탄소배출권거래소를 유치하기 위해 ‘공동유치추진위원회’를 구성했다.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전력거래소가 탄소거래소로 지정되도록 유치활동을 벌이기로 한 것이다. 하지만 유치위원회는 지난 4년 동안 고작 2차례 회의를 연 것이 활동의 전부였다.

유치 의지도 의심받고 있다. 전남도는 지난달 4일 국회에서 여야 의원 7명이 참석한 가운데 ‘탄소배출권거래소 나주 유치를 위한 포럼’을 열었다. 포럼이 열렸을 때에는 이미 탄소거래소 입지를 결정하는 평가자문위원회의 기술평가가 끝난 지 3주나 지나 있었다.

전남도는 지난해 1월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제출한 지역현안 사업에 탄소배출권거래소 유치를 누락시켰다가 반발이 일자 다시 포함시키기도 했다. 상품거래소 유치를 추진하고 있는 광주시도 탄소거래소 유치활동은 전남도에 맡겨둔 채 소극적으로 움직였다.

이기병 전남도의원은 “부산은 상공인과 정치권이 똘똘 뭉쳐 2년 전부터 유치를 위해 발벗고 나섰지만 광주와 전남은 지역에서도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했다”며 “전략도 없었고 최선을 다하지도 않았던 만큼 누군가는 책임져야 한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