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태우 전 대통령 국가장 절차는? 유족 협의 후 장례위원회 구성, 예산은 국고 부담

2021.10.28 14:40 입력 2021.10.28 15:41 수정

노태우 전 대통령의 국가장은 아직 확정되지 않은 절차가 많이 남아 있다. 현재 유족과 협의 중인 사안이 많고 영결식이나 안장식 장소도 미정이다. 장례를 국가장으로 치르고, 국립묘지에 안장하지 않는다는 것 외에 구체적인 절차는 정부 발표가 나오지 않은 이유이기도 하다. 다만 첫 국가장이었던 2016년 12월 김영삼 전 대통령 장례 이후 정부가 작성한 관련 매뉴얼을 보면 앞으로 어떻게 장례절차가 진행될지 어느 정도 예상이 가능하다.

28일 행정안전부 ‘국가장업무매뉴얼’을 보면, 국가장 절차는 고인 사망 후 유족들과 협의를 진행한 뒤 ‘대한민국 제 ○○대 대통령 ○○○ 국가장 계획(안)’을 안건으로 삼는 임시 국무회의를 개최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번에는 노 전 대통령 사망 다음날이었던 27일 정기 국무회의가 열렸기 때문에 노 전 대통령의 국가장 계획안이 즉석안건으로 상정돼 통과됐다.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고 노태우 전 대통령 빈소. 사진공동취재단. 연합뉴스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고 노태우 전 대통령 빈소. 사진공동취재단. 연합뉴스

국무회의에서는 장례 기본계획이 수립되는데 이 계획에는 장례절차 진행, 운구계획, 부처별 주요업무 분담사항, 장례비용 및 집행방법, 빈소, 분향소 설치 및 운영 등 장례 관련 전반적인 사항들이 포함돼 있다.

국무회의 이후에는 행안부 장관을 단장으로 하는 실무추진단을 편성하고, 장례위원회 구성 및 장례위원 명단을 신문에 공고한다. 매뉴얼에 따르면 장례위원회는 고인 사망 2일차 이내에 구성한다. 장례위원은 선례에 따르면 입법.사법.행정부, 각종 위원회의 장·차관급 이상 인사, 헌법기관의 장·차관급 이상 인사, 정당 대표와 현직 국회의원, 시·도지사와 출신지역 자치단체장 등으로 구성된다.

군에서는 합동참모총장, 3군 참모총장, 한미연합사 부사령관이 대표로 장례위원에 포함된다. 국·공립대 총장과 사회단체, 경제, 언론, 방송, 종교계 대표 등도 장례위원을 맡게 되나 장례절차의 원활한 운영과 집행을 위해 현직인 인사로만 구성하는 것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전직 인사로는 대통령과 국회의장, 대법원장, 국무총리 등 3부 요인을 포함시킨다. 여기에 유가족이 추천하는 친지 등으로 장례위원회를 구성한다.

이전 대통령들의 국장·국가장을 보면, 장례위원장은 박정희 전 대통령 때는 당시 국무총리였던 최규하 대통령 권한대행이, 김대중 전 대통령 때는 한승수 당시 국무총리가, 김영삼 전 대통령 때는 황교안 당시 국무총리가 각각 맡았다. 최규하 전 대통령의 국민장 때는 한명숙 당시 국무총리가, 노무현 전 대통령의 국민장 때는 한승수 전 국무총리와 한명숙 당시 국무총리가 함께 장례위원장을 맡았다.

국민장·국장·국가장 당시 장례위원회와 일간 신문 공고 규모를 보면 최규하 전 대통령의 국민장 당시 장례위원은 680명, 공고는 8개 신문사가 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국민장은 장례위원 1404명, 공고 60여개 신문이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국장 당시 장례위원은 2375명, 공고는 60여개 신문이었다. 국가장이었던 김영삼 전 대통령 장례 때 장례위원은 2222명, 공고는 70여개 신문에 실렸다.

장례위원회는 영결식 때 발인 및 운구 등을 중심으로 한 장례 세부집행계획 수립 및 집행을 맡게 된다. 영결식과 안장식이 끝나면 마지막 절차로 유족 측과 장례비용을 정산하는 것으로 국가장이 마무리된다.

국가장 매뉴얼에 따르면 영결식 장소는 과거 선례를 토대로 할 경우 국회의사당 앞뜰, 경복궁 앞뜰 등을 제시하게 된다. 분향소의 경우 대표분향소, 시·도 분향소와 재외공관 분향소를 설치하는데 대표분향소는 행안부가 직접 관리하고, 시·도 분향소는 각 시·도별로 운영, 관리를 맡는다. 재외공관 분향소는 외교부에서 재외공관에 협조를 구하게 된다.

안장식은 국립묘지에 안장하게 될 경우 안장기관인 국립현충원 등이 담당하지만 이번에는 국립묘지에 안장하지 않기 때문에 장례위원회가 유족과 협의해서 진행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행안부와 파주시 관계자 등에 따르면 유족 측은 장지 후보지로 노 전 대통령이 조성했던 파주 통일동산을 고려하고 있다. 유족 측은 이날 후보지를 살펴본 뒤 행안부와 논의를 거쳐 장지를 최종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묘지 조성에 필요한 시간 때문에 통일동산에 바로 안장하지는 못하고 임시 안치 장소에 안치한 뒤 다시 안장하는 방식이 될 가능성도 있다.

김영삼 전 대통령 국가장 당시에는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안장식을 진행했다. 당시 운구는 서울대병원 빈소에서 국회의사당, 상도동 사저, 김영삼 기념도서관을 거쳤다.

국가장 예산은 국가장법에 따라 빈소 설치 및 운영, 운구, 영결식 및 안장식 등을 국고에서 부담한다. 다만 조문객 식사비용, 노제 비용, 삼우제 비용, 사십구일재 비용, 국립묘지 이외 지역 안장에 따른 묘역 및 봉안시설 조성비용 등은 국고 부담 항목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국가장법에 명시돼 있다. 황명석 행안부 의정담당관은 “안장식 장소와 영결식 등에 대해 유족과 협의 중”이라며 “영결식 장소와 장례위원회 명단은 확정되는 대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