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감도 90%’ 허가 검사키트, 현장 ‘양성예측도’는 76%? 감염자 수 따라 유동적…개념 다를 뿐 정확도 안 달라져

2022.02.08 21:14 입력 2022.02.08 21:22 수정

자가검사키트 용어 Q&A

자가검사키트의 진단 정확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확도를 설명하는 기준이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등으로 분분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7일 배포한 자료를 바탕으로 자가검사키트 정확도에 관한 기초적인 내용을 문답 형식으로 정리했다.

- 자가검사키트 정확도를 측정하는 기준은.

“자가검사키트 제품을 허가하는 기준으로는 민감도와 특이도가 있고, 실제 검사 결과를 분석하는 기준으로 양성예측도가 있다.”

- 민감도와 특이도란 무엇인가.

“민감도는 코로나19에 걸린 사람을 검사했을 때 결과가 정확할(양성으로 나타날) 확률이다. 특이도는 코로나19에 걸리지 않은 사람을 검사했을 때 결과가 정확할(음성으로 나타날) 확률이다. 민감도는 90% 이상, 특이도는 99% 이상이어야 허가를 내준다. 성능이 보장돼야 하기 때문이다.”

- 양성예측도는 또 무엇인가.

“민감도와 특이도는 실험실의 통제된 환경에서 나온 결과치다. 반면 양성예측도는 ‘실제 현장’에서 ‘감염 여부를 모르는’ 사람을 대상으로 검사했을 때, 양성 결과가 나온 사람이 PCR 검사에서도 양성 결과가 나오는 비율이다. 현재 양성예측도는 76% 정도 된다.”

- 그럼 민감도와 특이도는 90%와 99%인데, 양성예측도는 왜 76%인가.

“양성예측도는 유행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양성예측도 공식은 한마디로 ‘현재 진짜 감염자가 얼마인지’에 따라 달라지는 구조다. 최근 신규 확진자가 폭증하는 상황처럼 감염자가 많으면 양성예측도가 올라가고, 반대로 감염자가 적으면 양성예측도가 내려간다.”

- 공식은 모르겠고, 그럼 실제 계산해본 결과를 알려달라.

“예를 들어 100명 중 3명이 감염된 상황에서 양성예측도는 73.6%가 된다. 100명 중 10명이 감염된 상황에서는 양성예측도가 90.9%로 높아진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