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양성 땐 확진 인정 검토”

2022.02.24 21:26

복지부 장관, 기자간담회

중대본 회의에서 발언하는 권덕철 장관. 연합뉴스

중대본 회의에서 발언하는 권덕철 장관. 연합뉴스

PCR 검사 역량, 한계 이르러
검사 방식 폭넓게 인정 모색

정부가 의료진이 실시한 신속항원검사 결과만으로 확진을 인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확진자와 검사자가 급증하면서 유전자증폭(PCR) 검사 역량이 거의 한계에 다다른 데 따른 것이다. 타액(침) 검사나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쓰는 ‘현장 PCR 검사’를 정식 검사로 인정해 달라는 요구도 제기되고 있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사진)은 24일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의료 현장 이야기를 들어보면 (신속항원검사가) 전문가용에서 양성이 나오고 PCR 검사 양성인 경우가 90% 이상”이라며 “PCR 검사가 보건소 인력 부족으로 제때 안 돼 1~3일 시차가 발생한다고 하는데, 전문가용 양성이면 (확진이라고 판정해) 재택치료가 가능하지 않겠냐는 의견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는 호흡기전담클리닉과 병·의원에서 의료진이 실시하는 검사를 말한다. 방역당국은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는 시중에서 판매하는 신속항원검사 키트를 활용한 자가검사보다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권 장관은 “미국과 프랑스에선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를 (확진을 판단하는 수단으로) 인정하고 있다”고 했다.

정부가 검사 방식을 보다 폭넓게 인정하려는 건 최근 PCR 검사 역량이 거의 한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3일부터 PCR 검사를 60세 이상 등 고위험군으로 한정한 후에도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지난 21일 PCR 검사 건수는 약 83만건에 달했다. 방역당국은 PCR 검사 최대 역량이 85만건이라고 본다.

서울시교육청은 콧속으로 면봉을 깊숙이 넣어 검체를 채취하는 PCR 검사를 학생들이 꺼려한다는 이유로 타액을 쓰는 PCR 검사 도입을 촉구하고 있다. 다만 아직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정식으로 허가한 타액 PCR 검사 제품이 없는 상황이다. 경기 여주시는 최근 타액 혹은 콧속 검체를 활용해 1~2시간 내 검사 결과를 확인하는 이른바 ‘현장 PCR 검사’를 정식 검사로 인정해 달라고 요구 중이다. 하지만 당국은 여주시에선 의료기관이 아닌 시약제조사가 검사를 운용 중이란 점, 검사 정확도가 떨어지는 점을 문제로 지적하고 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