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의료원 “공공병원 경영 정상화 최소 4년 걸릴 것…‘필수의료기관’ 위상 회복해야”

2022.04.08 14:39

8일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열린 ‘포스트 코로나 공공의료기관 기능 회복과 방향성 정립을 위한 기자간담회’에서 주영수 국립중앙의료원장이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8일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열린 ‘포스트 코로나 공공의료기관 기능 회복과 방향성 정립을 위한 기자간담회’에서 주영수 국립중앙의료원장이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사태 이후 국립중앙의료원의 의료손익 악화 정도가 메르스 사태 때의 10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의료원은 공공병원들이 코로나19 이전의 경영 수준으로 돌아가는 덴 최소 4년 이상 걸릴 것이라며, 공공병원의 제 기능을 회복하는 방향으로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중앙의료원은 8일 ‘포스트 코로나 공공의료기관 기능 회복과 방향성 정립을 위한 기자간담회’를 열고, 코로나19 발생 이후 경영손익 추계결과 자료를 공개했다. 대부분의 공공병원이 코로나19 사태 동안 감염병전담병원으로 지정된 탓에 일반 환자 입원 등이 제한돼 경영 손실이 컸다. 이날 공개된 자료를 보면 메르스 사태가 있었던 2015년 중앙의료원의 전년(2014년) 대비 의료손익 감소율은 10.3%에 그쳤으나, 코로나19가 발생한 첫 해인 2020년 이 기관의 의료손익 감소율은 106.7%로 메르스 사태 당시의 10.4배에 달했다. 2019년 대비 2020년 입원 환자 수는 56.8%, 외래 환자 수는 18.7%, 입원 수익은 49%, 외래수익은 5.7% 감소했다. 다른 감염병 전담병원 38곳의 전년 대비 경영 성과 분석에서도 평균적으로 2019년 대비 2020년 입원 환자 수는 21%, 외래 환자 수는 25.1%, 입원 수익은 30.8%, 외래수익은 20.3% 줄었다.

중앙의료원은 대도시의 공공병원보다 비수도권 지역에 있는 공공병원이 더 큰 손실을 입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주영수 중앙의료원장은 “공공병원들이 원래의 (경영) 수준으로 돌아가는 데는 최소 4년 이상의 회복 기간이 필요하다”며 “감염병 전담병원 지정이 더 장기화한다면 회복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훨씬 더 길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현재 코로나 전담병원으로 지정된 병원 중엔 민간 병원이 공공병원보다 더 많지만, 공공 병원은 전체 전담 병상의 70% 이상을 운영해왔다. 주 원장은 그럼에도 공공병원의 인프라 구조에 한계가 있어 공공병원이 중증 환자 치료 등 부분에선 큰 기여를 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주 원장은 “공공병원 회복의 수준을 (코로나19 이전의) 원상회복이 아니라 ‘필수 의료 제공 책임기관’으로서 위상을 확보하는 데 둬야 한다”며 “범정부 차원에서 공공병원 정상화를 위한 위원회나 협의 시스템을 구축해 현재 상황을 진단하고 ‘회복 로드맵’을 적극적으로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조승연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장(인천의료원장)은 “공공병원이 이대로 가다가는 궤멸할 수 있다는 우려까지 제기된다”면서 공공의료기관 수 확충, 예산 지원, 안정적인 의료인력 공급 등을 주장했다. 그는 “코로나19라는 전쟁에서 정규군(공공병원)을 놔두고 용병(민간병원)으로 전쟁을 이길 방법은 없다”며 “튼튼한 정규군이 있는 상태에서 보충적으로 용병이 있을 땐 최대한 활용할 수 있지만, 공공병원이 이처럼 무너지는 상황에서 민간병원 활용 방안만 너무 앞서서 진행되면 과거에 늘 우리가 범했던 과오를 반복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