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조직 내 성범죄 피해자 ‘명시적 반대’ 없으면 조사 계속

2024.06.17 18:37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경향신문 자료사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경향신문 자료사진

경찰이 조직 내에서 일어나는 성희롱·성폭력·스토킹사건 등 성범죄에 대해 피해자가 조사에 협조하지 않아도 조사를 이어갈 수 있도록 관련 훈령을 바꾼 것으로 17일 확인됐다.

국가경찰위원회는 지난 3일 회의를 열고 경찰 내 성희롱·성폭력·스토킹 사건에 대해 피해자가 ‘명시적으로 조사에 반대하는 경우’에만 조사를 중지할 수 있도록 ‘경찰청 성희롱·성폭력 예방 및 2차 피해 방지와 그 처리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훈령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개정 전 훈령 10조는 ‘조사관은 피해자가 조사 신청을 취소 또는 조사에 협조하지 않는 경우 조사를 중지할 수 있다’고 규정했다.

경찰은 훈령 개정 이유로 “피해자 보호”를 들었다. 피해자가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또는 가해자가 상관일 경우 불이익을 우려하는 등 다양한 사유로 조사에 적극적으로 응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경찰 관계자는 “피해자가 적극적으로 조사에 참여하지 않는다고 조사자가 임의로 ‘협조하지 않는 경우’라고 판단해 조사를 중지하는 경우가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