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기업 사태 해결 촉구’ 금속노조 잔업 거부

2011.06.01 19:37

현대차 손실 부풀리기·정부 기업편들기 강력 반발

유성기업 파업으로 인한 현대차의 손실 규모가 부풀려졌다는 보도(경향신문 6월1일자 1·3면)에 대해 민주노총과 유성기업 노조는 정부의 일방적인 기업 편들기와 공권력 투입을 비판하고 사태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했다.

민주노총은 1일 서울 종로 보신각 앞에서 유성기업 사태 해결을 위한 결의대회를 열었다. 민주노총은 성명을 내고 “유성기업 사건은 파업에 대한 비난 여론을 만들기 위해 조작된 대표적 사례가 됐다”며 “7000만원 연봉설, 파업피해 부풀리기, 공격적 직장폐쇄, 용역차량 뺑소니, 정부의 허위사실 재생산과 진실 은폐 등은 자본과 정부가 어떤 거짓을 일삼았는가를 집약적으로 보여준다”고 밝혔다. 이어 “아직도 불법 직장폐쇄를 풀지 않고 버티는 유성기업은 당장 직장폐쇄를 풀고 성실히 교섭에 응해야 한다”며 “파업이 노동자들의 합법적이고 마땅한 권리임을 인정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금속노조는 유성기업 사태 해결을 위해 잔업을 거부하고 총파업을 검토하고 있으며 현재 각 지부별로 진행되고 있는 임단협과 연결시켜 강한 하투(夏鬪)로 이어갈 계획이다. 금속노조는 오는 3일 전국 모든 사업장에서 잔업 거부 투쟁을 벌일 방침이다.

금속노조는 이달 말까지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총파업도 검토하고 있다. 금속노조는 특히 올 임단협 요구안에 주간연속 2교대제를 포함시켜 향후 노사 간의 힘겨루기가 예상된다.

한편 유성기업은 이날 노조 측에 교섭에 응하겠다는 공문을 보냈다. 교섭은 내일 오후 3시쯤 열릴 예정이다. 유성기업 노조 관계자는 “공권력이 투입되던 24일 제대로 된 교섭에 응하지 않던 유성기업이 교섭을 하겠다고 공문을 보내왔다”며 “현대차의 파업 손실 부풀리기와 정부의 공권력 투입에 대한 비난 여론이 거세지자 사측도 압박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사측이 공격적으로 직장을 폐쇄한 데다 아무런 폭력사태가 발생하지 않았는데도 정부가 성급히 공권력을 투입한 것에 대한 진상규명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