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 비정규직, 3일부터 “총파업”

2019.07.01 22:38 입력 2019.07.01 23:14 수정

학비연대 “5만여명 참여 예정”

교육부 돌봄교실 등 대책 착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3일 총파업을 앞두고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당국의 대책회의도 잇따랐다. 특히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이번 파업의 주축을 이루면서 교육 당국은 대체 급식과 단축 수업을 학교별로 검토하기로 했다.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1일 청와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총파업에 5만명의 비정규직 노동자가 참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사상 최대·최장 파업을 앞두고도 정부는 뚜렷한 대안을 내놓지 못했고 교육감 중에도 책임지고 교섭 타결과 문제 해결에 나서는 이가 없다”며 “우리를 파업에 내몬 이는 정부”라고 강조했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과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전국여성노조 등이 속한 연대회의 조합원은 9만5000여명으로 전체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의 66%를 차지한다. 예정대로 파업이 진행될 경우 초등돌봄교실과 학교급식 운영 등에 차질이 불가피하다. 약 1만5000명이 참여한 2017년 파업 당시에는 전국 1929개 초·중·고의 급식이 중단됐다.

교육부는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부교육감들과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교육부는 “급식이 중단될 경우 대체 급식, 단축 수업, 도시락 지참 등을 학교별 상황에 따라 안내할 방침”이라며 “돌봄교실과 특수학급도 조기 귀가나 통합 운영, 교사 대체 투입 등의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도 이날 공공부문 비정규직과 우정사업본부 노조가 준비 중인 파업에 우려를 표시하면서 대화로 문제를 해결할 것을 촉구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