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학부모 피해” “잠시 불편, 노동자의 권리”

2019.07.01 22:04 입력 2019.07.01 22:52 수정

현장선 우려·이해 목소리 엇갈려

3일 학교 비정규직을 포함한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총파업으로 급식과 돌봄교실 운영에 차질이 예상되자 일선 학교에서는 대책 마련에 분주해졌다. 파업 장기화로 인한 학생들의 불편을 우려하는 목소리와 함께 열악한 학교 비정규직의 현실을 공유하고 파업을 노동자의 정당한 권리 행사로 이해하자는 목소리도 나왔다.

1일 교육부와 각 시·도 교육감들의 파업 대책회의와는 별도로 일선 학교들도 총파업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느라 분주한 하루를 보냈다. 파업에 참여하는 학교 공무직의 경우 참여에 앞서 학교장에게 파업 의사를 전달해야 한다. 학교장은 매뉴얼에 따라 파업으로 인한 업무 공백 등을 예상해 자체적으로 대책을 세우게 된다. 서울의 한 초등학교도 이날 잇따라 교직원 회의를 열고 급식과 돌봄교실 문제를 논의했다. 이 학교는 급식은 대체품으로 제공하되 돌봄교실은 저학년 교사들이 대체 근무하기로 일정표를 마련하고 해당 사항을 학부모들에게 가정통신문으로 안내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실제로 파업에 몇 명이 참여할지는 2일 오후가 돼야 정확히 알 수 있어 당일 회의를 소집해 대책을 마련하고 안내하는 학교도 많을 것”이라고 밝혔다. 파업이 길어질수록 학교 운영 차질과 학생·학부모 피해도 커질 수밖에 없다. 한 지역 교육청 관계자는 “돌봄이나 급식 문제로 단축수업을 하는 학교도 있는데, 사태가 장기화되면 수업 일수를 나중에 맞춰야 하는 문제가 생겨 전반적으로 학사일정 재조정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인천의 한 초등학교에서는 “모두가 잠시 불편해지겠지만 (파업이) 나와 함께 살고 있는 누군가의 권리를 지키는 일이라 생각하고, 그것이 결국 우리 모두를 위하는 일임을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라는 가정통신문이 전달되기도 했다. 인천서흥초등학교는 지난달 28일 교장 명의로 발송된 가정통신문에서 “우리 학교 교육공무직 선생님들도 총파업에 참여합니다”라며 “이에 7월3일과 4일에는 빵과 음료 등 완제품으로 대체급식을 제공하고자 합니다”라고 밝혔다. 서흥초에서는 급식실 조리종사자, 스포츠강사, 전문상담사 등 약 10명이 파업에 참여한다. 파업기간 동안 급식이 중단되고 체육수업 등 일부 교육과정에도 지장이 생길 것으로 전망된다. 김지국 서흥초 교장은 “우리 학생들이 성장하면 대부분 노동자가 될 텐데 노동자의 권리를 학생들이 배울 수 있는 기회도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