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GPS 교란에 어민들 조업 포기하고 귀항

2016.04.01 21:54 입력 2016.04.01 22:45 수정

“항로 스크린 먹통” 300여척 피해

여객선·항공기는 운항 지장 없어

단거리 미사일 동해상에 또 발사

북한의 위성항법장치(GPS) 교란으로 1일 출어했던 어선 300여척이 조업을 포기하고 회항하는 피해를 봤다. 청와대는 “(GPS 교란은) 국제협약을 위반하고 우리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하고도 무모한 행위로서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밝혔다.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는 전날 저녁부터 이날 오후 2시까지 서해 연평도·팔미도, 동해 고성·양양·강릉 인근 해역에서 조업 중이던 어선과 여객선 등 342척의 선박이 GPS 교란의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 동해안의 경우 이날 새벽 출항한 어선 332척 중 71척이 GPS 이상으로 조기 귀항한 것으로 집계됐다. 문어를 잡기 위해 이날 오전 3시쯤 주문진항에서 출항했던 어민 윤광천씨(65·강릉시연안통발협회 총무)는 “연안에서 10m쯤 나갔는데 갑자기 GPS 플로터가 먹통이 돼 어쩔 수 없이 귀항했다”고 말했다. 차량의 내비게이션 같은 역할을 하는 항해 장비인 GPS 플로터가 북한의 전파 교란으로 화면만 뜰 뿐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조업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서해 최북단 대청도에서 조업 중이던 어민들은 “군당국에서 조업 중인 어민들에게 조기 입항하라는 문자메시지를 보냈다”고 전했다. 연평도에서 조업을 했던 이모 선장(60)은 “오전부터 이동항로를 표시하는 화면이 가끔씩 먹통이 됐다”며 “배가 움직일 때마다 경위도 등 현재의 위치가 나와야 하는데 화면이 정지돼 애를 먹었다”고 말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항공기 150대에 교란 신호가 유입됐으나 관성항법으로 운항해 피해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미래부는 “4차례 교란신호가 출현과 소멸을 반복하고 있어 ‘주의’ 단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교란신호의 세기가 더 높아지거나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경우 ‘경계’ 단계로 격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청와대는 김관진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를 열고 대응책을 논의했다. 정연국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에서 “북한은 핵·미사일 관련 도발을 지속해온 데 이어 GPS 전파 교란을 초래하는 도발행위를 했다”며 “국제협약을 위반하고 우리 국민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하고도 무모한 행위로서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비판했다.

국방부는 대북 경고성명을 통해 “북한의 GPS 교란행위는 정전협정과 국제전기통신연합(ITU) 규정 등을 위반한 명백한 도발행위”라며 “교란행위를 지속한다면 국제사회와 긴밀한 공조체제를 유지한 가운데 북한이 응분의 대가를 치르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방부는 이 같은 경고성명을 오후 7시55분쯤 유엔사 군사정전위를 통해 판문점 지역에서 육성으로 북측에 전달했다. 남북 간 군통신선 등이 끊어져 불가피하게 육성으로 전달한 것이다.

한편 북한은 이날 낮 12시45분쯤 함경남도 선덕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