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만여명 입주하는 에코시티에 학교는 달랑 1개?

2017.03.01 09:22

28일 전북 전주시 송천동 ‘에코시티’ 건설부지. 초고층 아파트들이 서서히 위용을 드러내면서 전주 북부권 신도시 모양새를 갖춰가고 있었다. 옛 향토사단터였던 이곳은 3년 뒤 아파트 1만3000세대, 3만2000여명의 주민이 둥지를 틀게 될 전주시 중심주거지역으로 자리잡게 된다. 하지만 입주예정자들의 근심이 적지 않다.

“입주민 3만명이 넘으면 어지간한 시골 지자체보다 많은 인구 아닙니까. 그런데도 학교는 달랑 1개만 들어설 수 있다고 하니 어떻게 이해를 할 수 있겠어요. 원래 계획에 예정돼 있던 학교가 신설되지 않을 경우 엄청난 반발을 각오해야 할 겁니다.”

최종철 에코시티 입주예정자연합회 부대표는 층수를 더해 가는 아파트 신축현장을 바라보며 한 숨을 내쉬었다. 그는 지난 주말 전북도교육청앞에서 연합회 주민들과 학교신설을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가졌다는 얘기도 전해줬다.

전주 에코시티 입주예정자들이 지난달 11일 전북도교육청앞에서 당초 예정된 8개 학교를 모두 신설해 달라며 결의대회를 열고 있다./박용근기자

전주 에코시티 입주예정자들이 지난달 11일 전북도교육청앞에서 당초 예정된 8개 학교를 모두 신설해 달라며 결의대회를 열고 있다./박용근기자

에코시티에는 당초 입주시기에 맞춰 유치원 2곳, 초등학교 3곳, 중학교 2곳, 고등학교 1곳 등 모두 8개 교육기관을 짓기로 계획됐다. 이 때문에 학교부지까지 확보한 상태다. 그런데 입주가 시작될 내년까지 신설이 확정된 학교는 초등학교 1개뿐이다.

어떤 이유가 있을까. 교육부가 규정한 학교총량제 탓이다. 농어촌 학교 통폐합 정책을 추진중인 교육부가 학교 총량제에 의거, 에코시티에 학교를 신설하려면 그 숫자만큼 소규모 학교를 통폐합토록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교육부 방침대로라면 전북지역에서 통폐합해야 할 학교는 전체 760여개 초·중·고교 중 46%에 이른다. 이런 이유로 도교육청은 농어촌교육 황폐화를 막기 위해 소규모학교 살리기 정책으로 맞서고 있다. 그 와중에 마음고생을 하고 있는 이들은 신도시에 입주할 예정인 주민들이 된 셈이다.

에코시티 입주예정자인 주부 정은혜씨는 “신시가지 아파트를 분양받은 것은 적재적소에 학교를 배치한 것이 마음에 들었던 것도 배경중의 하나였다”면서 “교육부와 교육청의 입장이 어떤 것이든 당초 원안대로 학교 설립이 이뤄져야 옳다”고 주장했다.

전북도교육청은 에코시티에 계획된 학교를 신설해야 하는데는 공감하고 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시급한대로 오는 4월 에코시티에 초·중학교 2곳과 만성지구 중학교 1곳 등 3개 학교 신설을 교육부에 다시 신청할 방침”이라면서 “전주시 및 정치권과의 협력을 통해 교육부를 지속적으로 설득할 계획이며 입학생이 없는 시골 소규모학교를 통폐합시키는 방안도 검토할 수 밖에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