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살균제 청문회

LG, 독성실험 한 번도 안 해…군 복무 중 사망 1명 첫 확인도

2019.08.28 21:18 입력 2019.08.28 22:50 수정
김동성 기자

특조위, ‘LG 제품 흡입 호흡기 피해’ 환경부 실험결과 첫 공개

“피해자들에 호흡기 무관한 자료 주며 ‘안전’ 설명, 두 번 기망”

옥시 “정부가 철저 관리했으면 참사는 없었을 것” 책임 회피

28일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열린 가습기살균제 참사 진상규명 청문회 둘째날에 증인들이 출석했다. 왼쪽부터 석웅 국군의무사령관, 노형욱 국무조정실 실장, 조명래 환경부 장관, 윤성규 전 환경부 장관, 김필제 국립환경과학원 위해성평가과장.  김정근 선임기자 jeongk@kyunghyang.com

28일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열린 가습기살균제 참사 진상규명 청문회 둘째날에 증인들이 출석했다. 왼쪽부터 석웅 국군의무사령관, 노형욱 국무조정실 실장, 조명래 환경부 장관, 윤성규 전 환경부 장관, 김필제 국립환경과학원 위해성평가과장. 김정근 선임기자 jeongk@kyunghyang.com

LG생활건강이 생산한 가습기살균제가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환경부 실험 결과가 최초로 공개됐다. LG생활건강은 가습기살균제 제품 흡입독성 관련 실험을 한 번도 실시하지 않았다. 군부대 총 55곳에서 가습기살균제 제품 2474개를 구매했고, 사망자 1명 등 총 19명의 피해자가 발생한 사실도 공식 확인됐다.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는 28일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열린 ‘가습기살균제 참사 진상규명 청문회’에서 LG생활건강의 가습기살균제 제품인 ‘119가습기살균제’에 대한 환경부 실험 결과를 최초로 공개했다. 특조위가 공개한 2019년 환경부 용역 보고서에는 119가습기살균제 원료인 염화벤잘코늄(BKC)은 흡입독성실험 결과 흡입 시 호흡기 계통(비강, 후두, 폐 등) 건강 피해가 생길 수 있다는 결과 등이 담겼다.

LG생활건강은 2011년 가습기살균제 사망 사고가 발생한 뒤부터 최근까지 제품 실험을 하지 않았다. 이치우 전 LG생활건강 생활용품사업부 개발팀 직원은 이날 청문회에서 “흡입독성실험을 해야 한다는 법적 근거가 당시 없었다”며 “원료들에 대한 문헌 검토는 제대로 이뤄져 제품을 출시했다”고 말했다.

홍성칠 특조위 비상임위원은 “2016년 국회 국정조사 때 증인으로 출석한 이정애 LG생활건강 부사장이 모든 제품에 대해 안전 검사를 하겠다고 말했는데, 이후 검사를 실시한 것이 있느냐”고 물었다. 박헌영 LG생활건강 대외협력부문 상무는 “동물실험(쥐)은 이뤄지지 않았다”며 “국가에서 인정한 성분들을 넣고 있기 때문에 그 부분까지 독성실험을 할 필요가 없어 진행을 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LG생활건강은 피해자 모임에 자사 가습기살균제가 안전하다는 근거 자료로 유럽화학물질청에 등록된 경구독성 BKC 자료와 라우릴디에틸렌디아미노글라이신 혼합물(Tego51)에 대한 문서를 제출했다. 최예용 특조위 부위원장은 “(호흡기와 관련 없는 자료 제출은) 피해자들을 두 번 기망한 것”이라고 했다.

최대 가해 기업으로 꼽히는 다국적기업 옥시레킷벤키저(옥시RB) 측은 책임을 정부에 돌렸다. 박동석 옥시RB 대표이사는 “SK케미칼이 최초로 (가습기살균제를) 제조·판매했을 때, 1996년 옥시가 유사 제품을 내놓았을 때, 정부기관이 더 안전한 기준을 만들고 관리감독을 철저하게 했더라면 오늘날과 같은 참사가 일어났을지…. 나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국방부 대상 청문회에서 군부대 내 가습기살균제 현황조사 결과가 공개됐다. 현재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하는 부대는 총 55곳으로 모두 2474개를 사용했다. 의무사가 15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육군 14곳, 해군 9곳, 공군 8곳, 기타 의무부대가 9곳으로 나타났다. 사용 개수는 의무사가 1612개로 65%를 차지했고 공군 720개(29%), 해군 84개(4%) 순이다. 육군은 수량을 제출하지 않았다.

특조위가 지난 19일 이후 확인한 군대 내 가습기살균제 구매·사용 및 피해 제보 현황을 보면 총 19명 중 천식과 잦은 기침, 폐손상·폐렴, 피부염 등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2011년에는 폐렴·폐손상을 앓고 있던 병사가 복무 중 사망한 사례도 파악됐다. 이남우 국방부 인사복지실장은 “피해자신고센터를 설치하고 사용자 현황을 파악해 나갈 것”이라며 “전역자 중에도 피해자를 찾는 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