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5명 중 1명은 독거노인…혼자 살 수록 더 가난하다

2023.08.03 16:18

일러스트 김상민 기자

일러스트 김상민 기자

고령층 5명 중 1명은 홀로 거주하는 ‘독거노인’으로 파악됐다. 독거노인의 소득은 2인 이상 같이 사는 고령층 가구의 절반 수준도 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65세 이상 내국인(904만6000명) 중 1인 가구는 197만3000명으로 21.8%에 달했다. 노인 5명 중 1명은 혼자 살고 있다는 의미다.

고령화 추세와 1인 가구 증가세가 맞물리면서 노인 1인 가구 수와 비중은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다. 2000년 기준 337만2000명이었던 65세 이상 고령층 인구는 지난해 900만명을 돌파했는데, 전 연령대의 1인 가구 수 역시 같은 기간 222만4000가구에서 750만2000가구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이에 따라 고령층 독거노인 수는 2015년 122만3000명에서 2018년 144만5000명으로 늘었고 2021년에는 182만4000명까지 불어나며 갈수록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한편 독거노인의 소득은 2인 이상 노인 가구보다 적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가구주가 65세 이상이고 가구원이 1명인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57만1000원이었다. 반면 가구주가 65세 이상이면서 가구원이 2명 이상인 가구의 소득은 375만7000원이었다. 독거노인의 소득 수준이 그렇지 않은 노인 가구 소득의 절반에도 못 미친 것이다.

가구주의 취업 여부를 보면 동거 노인 가구에서는 61.2%가 직업을 갖고 있었지만 독거노인 중에서는 41%만이 취업 상태였던 것으로 확인됐다. 취업 상태라 하더라도 독거노인일수록 불안한 고용 상태에 놓여있을 확률이 더 높았다. 동거 노인 가구 중에서는 임시근로자가 22.3%, 일용근로자가 5.6%를 차지했다. 상용근로자는 23.9%였다. 그에 반해 독거노인 중에서는 임시근로자가 45.1%, 일용근로자가 10.0%였다. 상용근로자는 11.6%에 불과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