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굶지 않고 연구하고 싶다”…R&D 예산 삭감 반대 나선 대학생들

2023.10.10 15:55 입력 2023.10.10 16:11 수정

국회 앞에 모여 정부 결정 철회 촉구

“가장 먼저 학생 연구자 일자리 위협

이미 기업 투자금 회수 등 사례 속출”

전국대학생회네트워크 소속 대학 및 대학원생들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R&D 예산 감축에 대해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창길기자

전국대학생회네트워크 소속 대학 및 대학원생들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R&D 예산 감축에 대해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창길기자

“이대로라면 국내에서 연구자로서 성장하기는 어렵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재학 중인 학부생 박지원씨는 정부의 연구·개발(R&D) 예산 대폭 삭감에 고민이 깊다. 내년도 예산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이미 계속과제 중단 예정을 통보받았다는 연구실 이야기를 전해들은 터다. 박씨는 예산 감축이 자신을 비롯한 학생 연구원들의 미래에 타격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실감했다고 했다. 그는 “양자컴퓨터 분야로 대학원 진학을 하고 싶었지만, 인건비 삭감 기조가 지속된다면 국내에선 진학이 어렵지 않을까”라고 했다.

이공계 대학생·대학원생들이 올해보다 16.6%(5조2000억원) 감축된 내년도 R&D 예산안을 반대하고 나섰다.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UNIST 학부 총학생회 등으로 구성된 ‘R&D 예산 감축 대응 대학(원)생 TF(R&D대응TF)’는 10일 오후 서울 국회의사당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예산 감축 결정 철회를 정부에 촉구했다.

R&D대응TF는 “서울대 물리학 전공 대학원생 수가 2년새 20명 가까이 줄어들었고, 석박사 통합과정은 미충원되는 등 이공계 기피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라며 “삭감 결정으로 의대 쏠림 현상이 강화될 것”이라고 했다.

이들은 R&D 연구비 삭감으로 가장 먼저 학생 연구자의 일자리가 위태로워질 것이라고 했다. 정두호 전국대학원생노동조합 지부장은 “삭감으로 시료를 못 사서 연구를 못하거나, 논문심사비 및 학회비가 줄어 논문 발표를 못하거나, 참여 프로젝트가 엎어지는 등 연구자의 자리가 사라질 수 있다”며 “없어지는 것은 아직 충분한 경험을 하지 못한 학부생 및 대학원의 자리일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전국대학생회네트워크 소속 대학 및 대학원생들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R&D 예산 감축에 대해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창길기자

전국대학생회네트워크 소속 대학 및 대학원생들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R&D 예산 감축에 대해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창길기자

충남대학교에 재학 중인 한 학부생은 “아직 예산안이 반영되지 않았는데도 기업이 투자금을 회수하는 등으로 연구실 규모가 축소된 사례가 셀 수 없다”면서 “연구실에 들어간 선배는 인건비가 줄어 새벽 아르바이트를 알아보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기초연구 악화 및 미래 연구 인력의 경쟁력 약화의 악순환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R&D대응TF는 지난달 21일부터 지난 9일까지 서울대·유니스트·포항공대 등 26개 대학 및 대학원 이공계생 6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98.9%(604명)가 기초연구 예산 감축에 반대했다고 밝혔다. 학생들은 예산 감축으로 우려되는 것으로 ‘기초과학 혹은 진행 중인 연구 축소(42%·259명)’ ‘연구원의 불안정한 노동 환경(32%·201명)’ ‘연구기관 취업에 대한 고민(16%·101명)’ 등을 꼽았다.

설문조사에 응한 학생들은 주관식 문항에서 “한국에서 더 공부하려는 사람이 줄어들 것” “부모님 도움을 못 받으면 절대 학교 생활이 불가하다” “굶지 않으며 연구를 배울 수 있다면 좋겠다” “노벨상 없는 우리나라, 과학에 투자를 줄이는 것이 안타깝다”며 예산 삭감에 반대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