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스크림 주문했는데 ‘멋대로’ 베이컨 추가?···맥도날드, ‘AI 주문’ 중단

2024.06.22 19:16 입력 2024.06.22 19:29 수정

지난 4월18일 오후 서울의 한 맥도날드 매장 앞. 연합뉴스 이미지 크게 보기

지난 4월18일 오후 서울의 한 맥도날드 매장 앞. 연합뉴스

미국 맥도날드가 IBM과 협업해 도입했던 인공지능(AI) 드라이브 스루 시스템을 3년 만에 중단하기로 했다.

21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에 따르면 맥도날드는 드라이브 스루 매장 100여곳에 도입했던 AI 주문 서비스를 다음 달 26일 종료하기로 했다.

최근 틱톡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맥도날드 드라이브 스루에서 AI가 부정확하게 알아들은 주문을 고치려는 사람들의 모습을 담은 동영상들이 게시됐다.

한 틱톡 영상에는 AI가 맥너겟 주문 개수를 240개, 250, 260개 등으로 잘못 알아듣는 탓에 두 친구가 “그만! 그만해”라고 말하며 웃는 모습이 담겼다.

또다른 영상에는 AI가 주문받은 아이스크림에 베이컨을 추가하거나 아이스티 1개를 주문한 고객에게 9개를 주문한 것처럼 주문 명세서를 내는 모습 등이 담겼다.

이러한 오류가 이어지자 미국 맥도날드는 지난 13일 내부 이메일을 통해 IBM과 협업을 종료하고 드라이브 스루 매장에서 AI 시범 사업을 종료한다고 밝혔다.

맥도날드의 결정은 경쟁업체들이 AI 투자를 늘리는 가운데 나왔다. 패스트푸드 체인 웬디스는 구글 클라우드와 협업해 AI 드라이브 스루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판다익스프레스는 대화형 음성인식 업체인 사운드하운드 AI와 협업해 약 30대의 자동 주문 접수기를 창구에 배치했다.

맥도날드의 이번 결정은 새로운 AI 기술이 아직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분석도 있다. 닐 톰슨 매사추세츠공대(MIT) 컴퓨터과학 인공지능 연구소 디렉터는 AI 시스템은 초기 비용이 큰 경우가 많고, 음성 AI는 부정확성 때문에 사람의 관리를 필요로 해 비용 절감 효과가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