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 자치구에 ‘폐지 수집 노인 일자리 전문기관’ 생긴다

2024.06.25 14:17 입력 2024.06.25 14:40 수정

서울시에서 폐지 수집을 하는 한 여성 노인.  한수빈 기자

서울시에서 폐지 수집을 하는 한 여성 노인. 한수빈 기자

폐지 수집으로 생계를 이어가는 노인들이 안전한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일자리 전담 기관이 서울 전 자치구에서 운영된다.

서울시는 이 같은 대책을 담은 ‘폐지 수집 어르신 지원방안’을 25일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지난 3월 발표한 지원 대책을 업그레이드된 것으로 폐지 수집을 하는 노인들에게 안정적 소득 활동이 가능한 저강도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위해 전 자치구에 ‘폐지 수집 어르신 일자리 전환 전담기관’을 지정해 일자리 발굴부터 저강도 일자리 연계, 후속 조치까지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전담기관은 자치구 내 시니어클럽, 노인종합복지관 등을 활용한다.

익숙한 일을 이어가려는 노인들의 성향을 반영해 공공장소 플라스틱 및 담배꽁초 수거, 수변공원 환경미화원 등 일의 형태는 유사하나 노동 강도가 약한 월 30시간 내외 일자리를 개발해 연계할 계획이다. 복지시설 도우미 같은 공공일자리나 도보 배달원 등 민간 일자리도 연계 대상이다.

문제는 폐지 수집을 해왔던 경우 계속하고 같은 일을 하고 싶어 한다는 데 있다. 서울시가 지난달 폐지 수집 노인 4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10명 중 6명이 폐지 수집을 계속하고 싶다고 답했다. 이에 폐지 수집 활동을 지속하고자 하는 노인에겐 공공일자리 사업 중 하나인 ‘폐지 수집 일자리사업단’을 연계해 수입을 늘려주는 방식을 적용한다.

서울시의 일자리사업단에 참여해 폐지를 자치구가 지정한 공동판매처에 갖다주면 판매 금액에 보조금을 더해 2배 수준(평균 30만원) 가량의 금액을 급여로 받을 수 있다. 현재 사업단에는 13개구 1253명이 참여 중인데 25개 전 자치구 1800명으로 단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공공일자리에 참여하고 싶어도 다른 지원을 받고 있어 참여 자체가 제한되거나, 기초수급 탈락을 우려해 참여를 꺼리는 이들을 위해 서울시는 보건복지부에 관련 지침 개정 등을 건의할 방침이다.

보호장비도 없이 어두운 밤에 위험천만 도로 위에서 일하는 어르신의 안전과 건강도 챙긴다. 서울 전역의 고물상(362개)과 협의해 휴게공간도 조성할 예정이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