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서울대생!

2017.03.05 20:34

[지금 SNS에선]나, 서울대생!

“저렇게 의견 개진하는 거에 니가 뭔데라고 생각하신다면 (중략) 내가 곧 졸업하는 학교는 전국의 수험생 60만명 중 4000명이 들어가니까 상위 0.7%….”

얼마 전 한 트위터 이용자가 논쟁 중 자신이 ‘서울대생’이라고 내세웠다가 도마에 올랐다. 이 이용자는 “대학강좌의 논리학을 배워보시고, B 이상 받으셔서 저랑 타당하게 토론을 나누었으면 한다”고도 했다. “학벌 자랑하는 거 안 창피하신지” “가슴 아프고 안타깝다. 내세울 것이 학교밖에 없다는 것이” “싸잡혀서 욕먹는 서울대생이 불쌍” 등등 트윗들이 쏟아졌다.

‘수능점수’의 차이를 한 인간의 ‘모든 능력’의 차이로 여기는 풍조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칼럼니스트 박권일은 특히 10~30대 청년세대에 광범위하게 퍼진 이 문화를 ‘과잉능력주의’라고 표현한다. 이 안에선 단순한 능력자 우대를 넘어 인간은 모두 평등하다는 전제까지 허물어진다. 무능력자·저능력자에게 ‘○○충’이란 딱지를 붙이고 멸시와 차별까지 서슴지 않는다.

김기춘, 류철균, 우병우, 이재용, 조윤선….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연루된 서울대 출신 인사들의 면면이다. 한 트위터 이용자는 말한다. “서울 법대 70주년 행사하면서 각계각층 유명한 서울 법대 출신 인사들 이름 학번별로 모아둔 전시물이 있었는데 대한민국 망친 사람들 이름 다 나옴.” 성낙인 서울대 총장조차 올해 입학식에서 “최근 서울대인들은 부끄러운 모습으로 더 많이 회자된다”고 자아비판했다.

그런 ‘능력’을 가지고 해낸 일이 겨우 이런 것이었다면 그것을 ‘능력’이라 부를 수 있을까. 마침 서울대에 ‘탄핵 반대 대자보’가 붙었다는 소식을 접한 서울대 출신 김진태 자유한국당 의원도 한마디를 보탠다. “눈물겹다… 사랑하는 후배들아 학교 마크에 있는 ‘Veritas Lux Mea’(진리는 나의 빛)를 가슴에 새겨다오.” 더 눈물겨운 진리는 한 트위터 이용자가 남긴 말이다. “어리석은 인간이여 트위터에는 교수도 국회의원도 손가락 하나 잘못 놀렸다가 인생 조지는 배드엔딩밖에 없는데 대학 간판을 들고 오다니. 트위터에서 승자는 고양이가 있는 사람뿐이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