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법농단 시대의 법조인 드라마

2018.06.14 20:39 입력 2018.06.14 20:59 수정

SBS 드라마 <귓속말>의 한 장면.

SBS 드라마 <귓속말>의 한 장면.

법조인 드라마 전성시대다. TV를 틀면 일주일 내내 법조인이 주인공인 드라마를 만날 수 있다. 법조인은 늘 한국 드라마의 인기 직종 중 하나였지만 국정농단 사태 이후 최고로 사랑받는 주인공이 됐다. 국정농단 주역 대다수가 ‘법꾸라지’라는 신조어를 탄생시킨 부패 법조인 출신이었던 만큼, 이상적 법조인을 통해 속시원한 정의 실현 드라마를 기대하는 심리가 반영된 현상이다. 최근 국정농단에 버금가는 국기문란 사태라 일컬어지는 사법농단 의혹이 정점에 달한 것도 정의로운 법조인 주인공 드라마 열풍을 부채질하고 있다. 실제로 요즘의 법조인 드라마에서는 새로운 경향이 눈에 띈다. 기존에는 부패한 정치권력이나 자본가 등 외부의 거악과 싸우는 법조인 드라마가 다수였다면, 최근에는 법조계의 오랜 적폐를 비판하고 법조개혁의 열망을 담아낸 작품들이 많다. 특히 법조계 최후의 성역처럼 남아있던 사법부 배경 드라마가 부쩍 증가했다. 이러한 새 경향을 본격적으로 보여준 작품이 지난해 방영된 SBS 드라마 <귓속말>이다. 전작 <펀치>를 통해 검찰조직 내의 부패 세력과 고발 세력의 갈등을 그렸던 박경수 작가는 <귓속말>에서는 법을 악용해 도적질하는 무리인 ‘법비’와의 전쟁을 내세우며 법조계의 총체적 적폐를 극화했다.

[김선영의 드라마토피아]사법농단 시대의 법조인 드라마

그 가운데서도 부패한 대법원장 장현국(전국환)의 악행은 사법농단 사태를 미리 예견이라도 한 듯 현실감이 넘친다. 사법적폐의 상징 그 자체인 장현국은 스스로를 “대한민국 재판의 상식을 만드는 사람”이라 칭할 정도로 제왕적 권력을 휘두른다. 신념 있는 소장판사 이동준(이상윤)이 청탁 재판을 거절하자 자신의 뜻에 맞는 법관인사위원회를 구성해 재임용 심사에서 탈락시키는 등 재판 거래와 인사 개입을 서슴지 않는 인물이다. 드라마는 장현국을 비롯해 전직 검찰총장, 전 법무부 장관, 최대 로펌 대표 등이 모두 교도소에 모이는 결말을 통해 대중의 적폐청산 판타지를 시원하게 실현했다.

‘본격 판사 장려 드라마’를 표방한 SBS <이판사판> 역시 사법혁신에 대한 열망을 반영한 작품이다. 드라마에서 제일 시선을 끄는 것은 ‘오판 연구회’라는 조직이다. 로스쿨의 아웃사이더들이 모여 잘못된 판결을 연구하며 은폐된 진실을 파헤치는 이 조직은 존재만으로 사법부의 낡은 관행에 대한 도전을 보여준다. 이들과 합력해 정의를 구현하는 신세대 판사 주인공들은 사법부의 개혁적 미래를 상징한다. 비록 허술한 구성과 로맨스에 치우친 이야기로 비판받기는 했으나 드라마의 문제의식만큼은 공감을 이끌어냈다. 올해 초 방영된 SBS <리턴>에서도 비슷한 주제의식이 발견된다. 주인공 최자혜는 판사 출신 변호사다. 그는 판사로 임용된 뒤 담당한 첫 재판에서 법의 사각지대를 악용해 처벌을 피하는 권력자들을 목격하고 회의를 느낀 끝에 스스로 법복을 벗었다. 훗날 그는 TV 법정쇼 ‘리턴’을 통해 잘못된 재판 사례를 분석하고 법제도의 허점을 고발한다. 드라마는 지나친 선정성, 폭력성 등의 문제를 드러내기는 했으나, “못 배우고 가진 게 없는 자들에게는 장벽이 한없이 높고, 법을 알고 돈 있는 자들에게만 관대한 법”의 모순을 비판하는 메시지는 분명 요즘 시대의 국민 정서를 건드리는 지점이 있다.

현재 방영 중인 tvN <무법 변호사>도 사법부에 대한 불신과 개혁의 요구를 담아낸다. 드라마의 최대 악역인 차문숙(이혜영)은 대법관 후보 1순위로 거론될 정도로 존경받는 판사지만 그의 진짜 정체는 사회적 지위를 이용해 온갖 비리를 저지르는 ‘법비’다. 드라마는, 마찬가지로 위엄 있는 판사의 가면을 썼던 아버지에 이어 부패의 계보를 만들어가는 차문숙의 모습과 이에 맞서 싸우는 법조계 이단아 봉상필(이준기)의 활약 안에 적폐청산의 시대적 화두를 녹여내고 있다.

JTBC 드라마 <미스 함무라비>의 한 장면.

JTBC 드라마 <미스 함무라비>의 한 장면.

JTBC 월화드라마 <미스 함무라비> 또한 신세대 판사들의 시선을 통해 사법부 내부의 문제점을 들춰낸다. 조직 내 성차별, 학연과 지연으로 이뤄진 파벌 구도, 권위의식 등과 같은, 어찌 보면 대형비리보다 더 뿌리 깊은 적폐가 비판의 대상이 된다. 이상주의자 신임 판사 박차오름(고아라)과 원칙주의 판사 임바른(김명수)의 논쟁을 통해 진정한 판사의 역할에 대한 질문을 던지기도 한다.

이처럼 최근 법조인 드라마는 사법적폐에 대한 청산과 혁신의 열망이라는 시대정신을 투영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드라마는 아니지만 같은 정서를 재현하는 프로그램 하나도 주목할 만하다. MBC에서 다음주부터 방영 예정인 시사 프로그램 <판결의 온도>다. 그동안 사회적 공분을 불러일으켰던 사법부의 문제적 판결을 테이블 위로 불러와 논쟁하는 토크쇼다. 지난 3월 파일럿 프로그램으로 방영될 당시 국민 감정과 동떨어진 사법부의 권위주의, 법제도의 모순 등을 비판하며 화제를 모은 바 있다.

지난해에는 언론개혁이 사회적 화두였다. 언론 검열 시대에는 좀처럼 볼 수 없었던 언론인 소재 드라마와 영화들이 쏟아져 나오며, 공정방송을 위한 언론노조 파업의 현실과 조응하며 개혁에의 바람을 담아냈다. 그리고 사법농단 시대의 법조인 프로그램 열풍 현상은 이제 ‘정의 실현 최후의 보루’인 사법개혁에 대해 이야기한다. ‘법비’들을 응징하고 공정한 정의를 실현하는 것이 드라마만의 이야기로 끝나서는 안될 일이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