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숲 -Ⅰ, 폭염

2020.10.16 03:00 입력 2020.10.16 03:02 수정

인간이 자연에서 얻는 서비스 가치를 최대로 높이는 방법은 자연을 보전하는 것이다. 유엔이 20년 전 전면에 내세운 생태계서비스 개념이다. 그럼에도 아직 우리는 자연의 위대한 능력을 무시하고 있다. 자본주의사회에서 보전은 소위 돈이 안 되기 때문이다.

홍석환 부산대 교수·조경학

홍석환 부산대 교수·조경학

최근 점점 심해지고 있는 기후위기는 이산화탄소 급증으로 인한 온도 상승에 기인한다. 지구 평균온도가 1도 상승했고, 우리나라는 지구 평균의 두 배씩 뛰고 있다. 극지방 빙하와 히말라야 만년설이 녹는다는 뉴스와, 북미와 호주의 사상 최악 산불뉴스, 아마존의 열대우림 파괴뉴스가 연일 도배되지만 정작 우리나라와는 동떨어진 내용들이다. 과연 우리는 지구 반대편 기후재앙의 피상만 바라보며 남의 집 불구경만 해도 되는 것인가? 우리나라 온도가 이들 나라보다 두 배씩 뛰는 이유는 궁금하지 않나? 단지 북반구 중위도에 위치했다는 지리적 위치 때문으로 치부하면 그만인가?

위대한 자연을 단편적 숫자로 표현하긴 불가능하지만, 간단한 산수를 해 보자. 우리나라 연평균 강우량은 1300㎜가 조금 안 된다. 육지에 내린 비는 흘러서 바다로 가거나 증발산한다. 물이 증발산하려면 에너지가 필요한데 상온에서 1ℓ의 물이 수증기가 되기 위해서는 약 560㎉가 넘게 필요하다. 숲이 시원한 이유는 나무가 물을 증발시키며 주변 열을 빼앗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숲이 지속적으로 발달해왔는데 왜 이렇게 온도가 높아지는 것일까?

산림청은 숲을 자연에 맡기면 쇠퇴한다는 엉뚱한 논리로 지난 수십년간 줄기차게 숲의 나무를 베어내왔다. 최근 20년간 숲가꾸기 사업 면적은 국토 전체 산림면적 대비 112%에 달한다. 어린 나무를 베어내는 등 상대적으로 주변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작은 사업을 제외한다고 해도 간벌사업 면적만 총 산림면적의 60%에 달한다. 산림청이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간벌 후 숲에서 증발하거나 지하로 침투하지 않고 유출되는 물의 양은 사업 전과 비교하여 사업 후 10년간 평균 1.5배나 증가한다고 한다. 산림에서 빗물이 유출되는 양을 대략 50%로 계산한다면 총 강우량의 25%가 증발되지 않고 추가로 유출된다는 말이다. 증발될 수 있는, 연간 320㎜의 물이 간벌지역에서 추가로 흘러나오는 것이다.

믿기 어려운 숫자이지만 정부의 연구결과이니 따라가 보자. 최근 20년간 간벌한 산림면적 중 최소 50%에서만 유출량이 증가했다고 가정해보자. 약 2만㎢에서 증발될 수 있었던 물은 총 60억t이 넘는다. 이 물의 기화를 위한 열량은 무려 3500조㎉나 된다. 휘발유 1ℓ의 열량은 약 7500㎉이다. 매년 무려 4600만t의 휘발유가 만들어낸 열을 다시 흡수할 기회가 사라진 것이다. 작년에 우리나라에서 소비된 휘발유 총량의 무려 35배에 달하는 엄청난 양이다.

단지 숲가꾸기라는 사업의 중단만으로도 우리나라 대기 중에 떠도는 엄청난 열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른다. 온도가 그만큼 낮아지니 폭염재난을 줄일 수 있다는 말이다. 자연의 위대함이다. 과연 과도한 화석에너지 소비로 발생해 떠도는 열을 흡수할 방법이 이것 말고 있는가? 허무한 숫자놀음을 하고 싶지는 않다. 다만 위대한 숲을 제대로 활용할 지혜를 논하자.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