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숲-Ⅱ, 홍수

2020.11.13 03:00 입력 2020.11.13 03:01 수정

사상 최고 6월 온도로 폭염재난의 두려움에 시작된 여름은 7월부터 길게 이어진 장마에 물난리로 마감되었다. 평년보다 많은 비가 내리긴 했으나, 섬진강이 넘칠 정도로 많은 비는 아니었다. 물을 가둔 댐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니 더 큰 재난으로 돌아온 것일 뿐이다. 그런데 정부는 이 인재를 발판 삼아 준설과 제방공사를 또 진행하려 한다.

홍석환 부산대 교수·조경학

홍석환 부산대 교수·조경학

세금을 아끼며 홍수피해를 대폭 줄일 수 있다면? 그런 방법이 있다 해도 토건자본에 포획된 정부가 선택하지는 않지 싶다. 자연에서 얻는 서비스 가치를 최대로 높이려면 자연을 보전하면 된다. 이 자연의 위대한 능력은 홍수방지에도 어김없이 적용된다.

재난을 극복한다는 논리로 지난 수십년간 하천 폭을 극도로 좁히며 제방을 높였다. 50년에 한 번 있을 홍수를 막기 위한 제방에서 모자라, 지금은 100년에 한 번, 200년에 한 번 올까말까 한 홍수를 예방한다며 더 높게 제방을 쌓고 있다. 그 좁힌 알량한 둔치까지도 이용에 열을 올려, 둔치에 물이 흐르는 당연한 현상까지 홍수피해라 하니 어불성설이 아닐 수 없다. 그럼 제방을 쌓으면 안전할까? 제방의 내구연한은 얼마나 될까? 불과 몇 년 전 쌓은 제방이 속절없이 터지는 광경을 올해 지켜보지 않았는가?

비의 특성을 보자. 국지적 폭우라 하더라도 결국 평균적으로는 64%가 숲에 떨어지며 1% 미만이 하천에 내린다. 미국 교과서에 따르면, 나무가 우거진 숲에 내린 비의 80% 전후가 증발하거나 지하로 침투한다. 우리나라는 대략 40~60%가 유출된다. 이런 숲이 개발되면 많은 물이 한꺼번에 지표면을 흘러 하천에 몰리니 그 힘을 견디지 못하는 건 당연한 이치이다. 주로 산림 경계 새로 개발된 곳에 홍수피해가 많은 이유이다. 태양광 발전도 예외일 수 없다.

홍수피해는 폭우에 갑자기 불어나는 하천, 즉 피크유량의 증가가 핵심 원인이다. 여기서 숲가꾸기라는 이름으로 진행하는 간벌과 가지치기 사업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간벌을 하면 우수 유출량이 사업 이후 10년간 평균 1.5배나 증가한다고 한다. 산림청이 약 30년간 연구를 진행한 후 발표한 결과이다. 즉, 폭우가 내리면 강으로 모여드는 물량이 급격히 증가한다는 뜻이다. 강우 패턴이 유사한 일본의 한 연구에서는 단지 유역면적 5분의 1의 간벌만으로도 피크유량이 급격히 늘어났는데, 200㎜의 큰비가 올 경우 무려 80%나 증가한다고 예측했다. 강우강도가 클수록 그 증가 비율은 더 커진다.

그럼 중요한 것은 간벌 사업의 규모가 된다. 지난 20년간 진행한 숲가꾸기 사업 면적은 무려 국토산림면적 대비 112%다. 우수 유출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사업들을 제외하더라도 전체 산림의 60%가 심각하게 유출량을 늘렸을 것이다. 아무리 적게 계산한다 해도 이 사업 하나만으로 전국 모든 하천의 피크유량이 약 20% 증가했다고 볼 수 있다. 물난리가 주로 발생하는 산림 하부는 무려 40% 가까이 증가될 수 있다는 말이다. 제방이 견딜 길이 없다.

종합하면, 단지 숲가꾸기라는 사업 중단만으로도 현재보다 제방 여유량이 20~40% 늘어나 홍수위험은 획기적으로 줄어든다. 자연의 위대함이다. 제방을 높이거나 하천을 준설하기 위한 천문학적 세금 투입이 먼저가 아닌 이유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